정책대출 대상 아닌 9억~15억원은 급감···규제 '직격탄'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 전경. / 사진=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 전경.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로 9월 이후 팔린 서울 아파트 가운데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50%를 넘었다. 9억~15억원의 중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규제로 크게 위축된 결과다.  

2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9∼10월 매매돼 이달 25일까지 거래 신고를 마친 서울 아파트 총 4138건 가운데 9억원 이하 거래 건수는 2184건으로 전체의 52.8%를 차지했다. 직전 2개월인 7∼8월간 팔린 건 수 중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43%였던 것과 비교하면 약 10%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는 아파트값이 본격적인 상승세를 타면서 고가 아파트 거래가 급증했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강남권이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에서 거래가 증가한 결과다. 이에 지난 5∼6월의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41.3%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달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 시행으로 상황이 바뀌었다. 더불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자 은행권이 대출 이자를 올리고 유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을 제한하는 등 대출 문턱을 올리자 거래가 크게 줄었다. 지난 7월 9024건(계약일 기준)에 달했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8월 들어 6329건으로 감소했고, 9월에는 현재까지 신고분이 2890건에 그쳐 8월 대비 절반 넘게 쪼그라들었다.

특히 9억∼15억원 이하 중고가 금액대의 물건 거래가 크게 줄었다. 지난 7∼8월 33.7%에서 9∼10월 들어 27.6%로 6%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이 금액대 아파트는 저금리의 정부 정책 대출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기에 정부의 규제 강화와 은행의 대출 문턱 높이기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15억∼30억원대 거래 비중도 7∼8월 19.2%에서 9∼10월은 15.1%로 4%포인트가량 줄었다.

월별로 따져봐도 최근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점점 커지는 추세다. 지난 7월 41.7%였던 서울 아파트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8월 들어 44.9%로, 9월에는 50.2%로 늘었다. 거래 신고 기한이 다음 달 말까지인 10월은 현재까지 거래 신고물량 가운데 9억원 이하는 58.7%다. 

반면 30억원을 초과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 지난 7∼8월 4.0%였던 30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9∼10월 들어 4.5%로 늘었다. 초고가 아파트는 규제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한 대목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고가아파트 거래는 현금 부자 혹은 고액의 대출이 가능한 전문직 종사자들이 하는 것이라 규제로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