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 “그냥 놔두면 심각한 문제에 봉착”···구조조정 불가피성 강조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야당이 최근 임직원 반발을 사고 있는 ‘구조조정’ 논란과 관련, 김영섭 KT 대표에게 “구조조정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적했다. 이에 김 대표는 “그냥 놔두면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불가피한 구조조정이란 입장을 밝혔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서울 영등포구 국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원자력안전위원회 등에 대한 종합감사를 진행했다.
통신3사 대표 중엔 유일하게 올해 과방위 국정감사 증인으로 두 차례 출석하게 된 김영섭 대표는 최근 불거진 ‘구조조정’ 논란과 관련 야당 의원들의 질타를 받았다.
이훈기 민주당 의원은 “아현동 화재처럼 통신 대란이 일어날 수 있는 것에 대해 노조의 우려가 많다. (신설법인 전출) 1차 접수를 받았는데. 목표보다 미약한 것 같다”며 “(구조조정을) 전면 재검토해야 하지 않나. KT의 통신 인프라는 국가 차원에서 구축된 점도 있는데, 그것을 마음대로 구조조정 하면서 팽개쳐도 되는지 문제의식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초에 구조조정을 안 한다고 하지 않았냐. 현대차가 1대주주가 되고 바로 구조조정을 하니까 여러 가지 의문이 생기는 것”이라며 “KT의 광고도 현대차에서 하는 등 여러 우려가 현실이 되고 그 과정에 구조조정도 들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영섭 대표는 “신설회사를 만들어 보내는 등 조치는 그냥 놔두면 심각한 문제에 봉착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그곳에 있는 인원은 정년이 얼마 남지 않아 향후 5년간 3600명 정도가 퇴직하게 된다. 그럼에도 신입사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현대차와의 연관성과 관련해선 “구조조정과 현대차가 KT의 제1대주주가 된 것과는 단언컨대 전혀 관계가 없다”며 “강압적이고 인위적인 대규모 구조조정은 안 한다고 한 것이고, 경영이란 것은 항상 합리적인 구조조정은 늘상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신설법인 전출) 1차 신청을 받아도 800명이 안 되게 신청한 것 같다”는 이 의원의 질의에는 “그보다 훨씬 많은 인원이 신청했다고 보고받았다. (인프라 관련 우려가 없도록) 꼼꼼하게 챙기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도 “품질 저하나 이용자 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감독 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KT는 지난 15일 이사회를 열고 5750여명에 달하는 선로 통신시설 유지보수, 국사 내 전원시설 유지보수 등 현장 인력을 내년 신설할 자회사로 전출하거나 ‘특별희망퇴직’을 시행하는 인력 재배치안을 논의했다.
재배치 대상은 KT 본사에서 선로 통신시설 설계·시공·유지보수 및 고객전송·개통·AS업무 등을 수행하는 직원 약 4400명(선로 3600명, 비즈개통·AS 800명)과 국사 내 전원시설 설계·시공·유지보수 및 도서 마이크로웨이브 및 선박 무선통신 운용·유지보수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약 420명(전원 370명, 마이크로웨이브 50명)이다.
KT는 현금 출자 방식으로 KT OSP(가칭), KT P&M(가칭) 등 2개의 통신 네트워크 운용 전문 신설법인을 설립하고 대상 인원 중 3400명과 380명을 선발해 해당 회사로 전출할 예정이다.
KT는 신설법인 전출 외에도 KTis와 KTcs 등 기존 그룹사로 업무를 이관하고 계속 수행을 원하는 직원에게 전출 기회를 제공한다. 고객상담을 관리하는 C&R운영 직원 120명과 엔터프라이즈부문 법인CRM센터 직원 50명이 대상이다.
다만 양대노조의 반발이 거세지자, KT는 전출 또는 퇴직 목표치를 당초 4000여명대에서 삭제해 별도로 두지 않기로 했다. 또 신설 자회사 전출 인원과 기존 그룹사 전출 대상자 중 10년 이상 전출자에게는 KT에서 받던 기본급의 70%와 전직 지원금(기본금의 30%·일시금)을 주기로 했으며 근속 10년 미만은 기본금 100%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당초 2년의 촉탁직 근무 기한을 3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밖에 전출자 모두에게 본사와 동일한 복지혜택을 유지하도록 했다, 전출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특별희망퇴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고, 최대 4억3000만원의 특별희망퇴직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KT는 전출 또는 회망퇴직 미신청·미선발 직원에 대해선 기존의 유통영업과 기술영업 직무를 포괄하는 직무를 신설해 광역본부 직속 ‘토탈영업TF(가칭)’으로 배치, 공백상권으로 파견발령할 방침이다.
이같은 구조조정은 김 대표가 취임한 지 1년2개월 만에 단행된 것으로, 그의 과거 경력 때문에 예견된 구조조정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김 대표는 1984년 럭키금성상사(LG상사 전신·현 LX인터내셔널)에 입사해 LG 구조조정본부 재무개선팀 상무,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 등을 역임한 대표적인 LG그룹 내 ‘재무통’ 출신이다. 그는 2015년말 LG CNS 대표로 취임한 후 실적 내리막을 걷던 부실 자회사를 대거 정리하고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수익성을 강화했단 평가를 받는다.
다만 KT 내부 우려를 불식하는 것이 김 대표의 과제다. 실제 KT 제2노동조합인 KT새노조는 지난 21일부터 단식농성에 돌입했으며 인력 재배치 대상 직원들은 혼란에 빠진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