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50%→3.25% 인하
“물가상승률 뚜렷한 안정세 보여”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며 통화정책 방향 전환에 나섰다. 물가상승률이 1%대까지 떨어지는 등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에 부합하는 흐름을 나타내자 금리를 내릴 환경이 조성됐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11일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물가상승률이 뚜렷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며 “외환시장 리스크도 다소 완화된 만큼 통화정책의 긴축 정도를 소폭 축소하고 그 영향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3.50%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선 것은 지난 2021년 8월 금리를 0.50%에서 0.75%로 인상한 이후 3년 2개월 만이다.

금통위의 이번 금리 인하 결정은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경기 부진 우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되고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성장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수도권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거시건전성 정책 강화의 영향으로 점차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 등 관련 리스크에 여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세계 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주요국의 경기 불확실성은 다소 높아졌으며 인플레이션은 둔화 추세를 지속했다.

금통위는 “앞으로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 경기 상황 및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국 정치 상황 등이 주요 변동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수출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내수 회복세는 아직 더딘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고용은 취업자 수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지만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지속했다.

금통위는 “앞으로 국내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내수 회복 지연 등으로 지난 8월에 비해 전망(올해 2.4%, 내년 2.1%)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며 “향후 성장 경로는 내수 회복 속도, 주요국 경기 및 IT 수출 흐름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 물가상승률은 안정세가 뚜렷해졌다.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9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로 낮아졌으며 근원물가 상승률(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2.0%로 둔화됐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도 2.8%로 낮아졌다.

금통위는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낮은 수요 압력으로 안정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를 하회하면서 올해 상승률이 지난 8월 전망치(2.5%)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보이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2% 내외의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상승률이 지난 전망(2.2%)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