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78GW로 7월 수준 육박, 여름할인 부재···한전 “가정용 전기료, 선진국 대비 낮아”

[시사저널e=이상구 기자] ‘가을 폭염’ 신조어가 탄생할 정도로 늦더위가 기승을 부렸던 올 9월 냉방용 전기 수요 증가 여파로 국내 최대 전력수요가 역대 9월 최대치를 경신했다. 가정과 상점 등에서 전기 사용량이 예년보다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9월부터는 여름에 적용되는 전기요금 할인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전기요금 증가 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 9월 최대 전력수요는 평균 78GW(기가와트)로 지난해 같은 달 73.5GW 대비 6%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9월 평균 최대 전력수요는 7월 80.5GW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최대 전력수요는 하루 중 전력수요가 가장 많은 시간대의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여름에는 대개 오후 시간대 접어들어 전력수요가 가장 많다. 한국전력이 집계하는 국내 전기 사용량 공식 집계 결과는 발표되지 않은 상태다. 단, 전기 사용량은 전력에 사용 시간을 곱해 산출되기 때문에 평균 최대 전력수요가 증가했다면 전기 사용량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게 된다.

우편함에 놓인 전기요금 청구서 모습. / 사진=연합뉴스
우편함에 놓인 전기요금 청구서 모습. / 사진=연합뉴스

통상 9월은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선선해지고 낮 최고기온도 30도 밑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올 9월에는 늦더위가 이례적으로 오래 지속됐다. 기상청 기상 자료 개방 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평균 하루 최저 기온은 20.9도였다.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기상 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후 9월 중 1위였다. 이처럼 전기요금 할인이 없는 9월까지 늦더위가 계속됨에 따라 올해 일반 가정의 9월분 전기요금 부담은 예년보다 커질 전망이다. 

현재 주택용에는 누진제 전기요금이 적용되는데 냉방용 전력 사용이 많은 여름철 7∼8월에만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전기요금을 할인해줘 냉방비 부담을 낮추고 있다. 7∼8월 주택용 전력 요금체계는 ‘300kWh(킬로와트시) 이하’(1kWh당 120원), ‘300kWh 초과 450kWh 이하’(214.6원), ‘450kWh 초과’(307.3원) 3단계다. 9월부터는 여름 할인이 끝나고 다시 전기요금 누진 적용 구간이 ‘200kWh 이하’(1kWh당 120원), ‘200kWh 초과 400kWh 이하’(214.6원), ‘400kWh 초과’(307.3원) 3단계가 적용된다. 

늦더위로 소비자는 예년보다 더 많은 전기요금을 부담해야 하지만 공급자인 한국전력은 누진제 적용 합리화 방안과는 별개로 국내 가정용 전기요금이 세계 주요 선진국 대비 낮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또 한전은 최근 여러 차례 전기요금이 인상됐지만 주택용의 경우 아직 공급 원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