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맷값 오름폭 3주 연속 둔화, 전셋값은 상승폭 유지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 자료=한국부동산원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 자료=한국부동산원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서울 아파트 가격이 28주 연속 상승했지만 상승폭은 3주 연속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출규제와 단기간에 가파르게 오른 상승감 피로 누적 때문으로 풀이된다.

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다섯째주(9월 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0% 올랐다. 다만 상승폭은 전주(0.12%) 대비 0.02%포인트 줄었다.

이번 주에는 강남구(0.18%), 서초구(0.17%), 광진구(0.16%), 마포구·서대문구(0.15%), 용산구·성동구(0.14%), 영등포구(0.13%) 등이 서울 평균치 이상의 상승폭을 보였다. 반면 도봉(0.02%), 금천·관악(0.03%), 동작(0.04%) 등은 평균치를 하회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주요 단지의 매도 희망 가격이 하방 경직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대출 규제와 단기 급등 피로감 누적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돼 있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상승하며 오름세를 유지했다. 서울과 마찬가지로 전주(0.04%)보다는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난주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5대 광역시의 경우 하락폭이 확대됐으며 지난주 보합을 기록한 세종시와 8개도는 모두 하락 반전하며 각각 -0.06%, -0.01%를 기록했다.

한편 전셋값은 서울과 전국 모두 전주의 상승폭을 유지했다. 서울의 전세가격지수는 0.10% 오르며 7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전국은 0.05%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일부 단지에서 전셋값 상승과 하락이 혼재했으나 선호도 높은 역세권과 대단지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꾸준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는 분위라고 부동산원은 전했다. 특히 성동구(0.18%), 중구(0.17%), 영등포구(0.15%)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수도권도 0.10% 오르며 상승세를 지속했으며 지방은 보합(0.00%) 전환했다. 세종시는 매물 적체 현상이 지속되며 0.08% 하락, 전주(-0.02%)보다 낙폭을 키웠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