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과수, 배터리 하부충격에 따른 발화 가능성 언급
충격 피하고 얕은 물 우회하는 등 운행 요령 익혀야

지난 2개월간 전국을 ‘전기차 포비아’로 몰아넣었던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에 대한 국립과학수사원 발표가 최근 있었다. 배터리 일부에서 화재가 시작된 점과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데이터 추출 실패, 전기차 운전자가 배터리 바닥에 충격을 줘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발표 내용으로 담겼다.

BMS 데이터 추출이 실패한 점은 원인불명에 다름 아니고, 배터리 충격에 대한 의견도 완전히 입증되지 않아 경찰 추가 조사가 이뤄져야 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전체적으로는 원인 미상이라는 뜻이다. 벤츠 감식에 자문위원으로 참석한 필자로서는 어느 정도 예상되는 부분이었다. 전기차 화재는 발열 온도가 높고 통상 차량이 전손돼 원인 분석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전기차 화재 원인은 과충전, 과방전, 배터리셀 불량, BMS 불량을 중심으로 모터 과열 등 다양하다. 원인들이 동시다발해 작용했을 수도 있다. 배터리셀 불량은 배터리사 제작 불량이 발생한 후 운전자가 전기차를 무리하게 운행해 하부 충격이 반복되거나 침수도로를 달리는 등 요인이 겹치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국과수 발표 내용 중 전기차 하부 충격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언급된 점은 운전자 부담을 크게 늘린 부분으로 해석된다. 조사팀은 흔적을 바탕으로 운전자 과실 가능성을 언급했다. 해당 차량을 주차한지 약 60시간 가량 지난 후 화재가 발생했고, 흔적도 완벽한 물증이 아니기 때문에 과실 입증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 다만 국내 최고 전문가 집단에서 언급한 부분이기 때문에 상당한 무게감을 준다.

운전자 과실이 입증되면 또 다른 걱정거리가 발생할 수 있다. 1000억원으로 예상되는 배상액을 개인이 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자동차 제작사와 배터리사에 면죄부를 줘 논쟁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화재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기차 안전운전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전기차 안전운전교육과 구조의 차이점을 가르칠 수 있는 기본적인 교육과 매뉴얼 제작을 실행할 만하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와 달리 엔진, 변속기 대신 배터리와 모터를 장착한, 즉 ‘움직이는 가전제품’이라고 봐야 한다. 운행, 관리 방식도 내연기관차와 다르게 이뤄져야 한다.

전기차를 타고 과속방지턱을 지나는 등 여러 상황에서 배터리 하부에 반복적으로 충격을 주면 배터리셀 단락을 유발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타이어 높이 절반 이상이 잠기는 침수 도로를 지나지 않는 것이 좋고, 젖은 손으로 전기차 충전하는 것을 피하거나 충전율 제어로 안전을 도모하는 등 운행 요령이 존재한다.

국과수가 이번 발표에서 운전자 과실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전기차 운전자가 전기차 운행 요령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준 계기로 볼 수 있다. 전기차는 아직 완벽한 이동수단이 아니고, 발전하면서 단점을 보완하고 발전을 거듭하는 중이다. 이번 화재 사건의 결과가 속히 나와 전화위복의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