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년엔 2차 베이비붐 세대도 80대 넘겨
OECD 중 노인빈곤율 가장 심각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향후 30년 뒤에는 다섯 가구 중 한 가구는 가구주 연령이 80대 이상일 것으로 예측됐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동시에 베이비붐 세대의 연령이 대부분 80대 이상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연령이 80세 이상인 가구는 2022년 119만4000가구에서 2052년 487만6000가구로 네 배 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2033년 205만8000가구로 200만을 돌파한 뒤 6년 후인 2039년 300만6000가구로 300만을 넘어서고, 2045년엔 405만1000가구로 400만을 웃돈다는 전망이다.
이에 2052년엔 80대 이상 가구가 전체 가구(2327만7000가구)의 20.9%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80대 이상 가구의 비중은 2022년 5.5%였지만, 2036년에 10%를 돌파해 2051년 20%대에 진입한다.
가파른 고령화 추세와 함께 2052년에는 2차 베이비붐 세대인 1964∼1974년생들도 대부분 80대를 넘기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별로 인해 노인 1인가구가 크게 늘면서 가구주의 연령대가 크게 높아지는 점도 80대 이상 가구 증가의 요인으로 꼽힌다. 실제로 2052년 기준으로 80대 이상 가구를 가구원 수별로 분석하면 1인가구가 228만5000가구로 가장 많다. 전체 1인가구(962만가구)의 23.8%에 달한다.
더불어 가구주 연령을 65세 이상으로 넓히면 2052년 전체 가구의 절반에 달하는 1178만8000가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2052년 가구주의 중위연령은 65.4세다. 반면 30대 이하 청년 가구주의 수는 2022년 498만8000가구에서 2039년 300만대에 진입, 2052년에는 274만4000가구까지 쪼그라드는 것으로 추산됐다. 전체 가구에서의 비중이 23.0%에서 11.8%로 크게 줄어든다.
노인 가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처분가능소득으로 계산한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43.4%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OECD 평균 노인빈곤율(13.1%)보다 세 배 넘게 높다.
이승희 KDI 연구위원이 발표한 보고서 '노인빈곤에 관한 연구: 소득과 소비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자산이나 소비를 추가로 고려하더라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출생 세대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를 보면 1950년 이전 출생 세대의 경우 빈곤율이 50%에 가깝지만 1950년 이후 출생 세대의 경우 빈곤율은 30% 이하로 격차가 컸다.
이 연구위원은 "노인 빈곤 완화를 위해 기초연금은 경제성장과 연금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한 고령층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