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92.3% 1293만명은 1인 평균 1277만원 보유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지난해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를 통틀어 상장주식만 1억원 넘게 보유한 107만 8000명의 ‘동학개미’(내국인 개인투자자)가 1인당 평균 5억4337만원씩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예탁결제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 7.7%인 내국인 개인투자자 100만명이 보유한 상장주식 총액은 585조7940억원으로 1인당 평균 5억4337만원이었다. 하위 92.3%인 내국인 개인투자자 1293만명은 1인당 평균 1277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보유액 기준 42.6배 자산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000만원 미만을 보유한 876만명(하위 62.22%)의 1인당 보유금액은 230만원 수준이었다. 총 20조원으로 전체 주식시장 가치의 2% 가량에 불과했다. 반면, 100억원 이상 보유한 3101명(상위 0.02%)의 1인당 보유금액은 780억원 수준으로 총 242조원이었다. 전체 주식시장 가치의 32%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8세 미만 미취학 아동은 18만471명으로 총 1조805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억원 넘게 보유한 508명은 1인당 2억9544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1 억원 미만으로 보유한 17만9963명은 1인당 517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동학개미 간 57.1배의 부의 격차가 존재했다.
초·중·고등학교에 진학한 8~19세는 58만1257명으로 총 4조5321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억원 넘게 보유한 2921명은 1인당 4억5293만원을 보유했고, 1억원 미만으로 보유한 14만4584명은 1인당 555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동학개미’ 간 81.6배의 부의 격차가 드러났다.
1억원 이상 보유한 20대 내국인 개인투자자는 전체 20대 투자자(154만4082명) 중 0.9%(1만3493명)로 1인당 평균 3억5120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억원 미만으로 보유한 20대 투자자는 1인당 528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1억원 넘게 보유한 20대 투자자와 66.4 배의 부의 격차가 존재했다.
1억원 넘게 보유한 30대 내국인 개인투자자는 전체 30대 투자자(315만4328명) 중 2.8%(7만5276명)였다. 1인당 3억5710만원을 보유한 셈이다. 1억원 미만 보유 30대 투자자는 1인당 898만원을 보유했다. 1억원 넘게 보유한 30대 투자자와는 39.7배의 부의 격차가 나타났다.
그 이상 연령대에서 상장주식을 1억원 넘게 보유한 내국인 개인투자자 중 40대 23만1700명 ( 상위 7.3%)이 1인당 4억2400 만원, 50대 38만2600명 (상위 12.4%)이 1인당 5억5200만원, 60대 27만명(상위 14.3%)이 1인당 5억7600만원, 70대 8만명(상위 13.1%)이 8억5000만원, 80 대 16만7700명(상위 10.1%)이 11억5200만원, 90대 이상 1500명(상위 2.1%)이 12억9300만원을 각각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장기간 자산을 보유하면서 주식가치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상장주식을 1억원 이하로 보유한 일반 투자자 중 40대가 1인당 1400만원 (28.6배 격차 ), 50대가 1인당 1800만원 (30.8배 격차), 60대가 1인당 1830만원(31.5배 격차), 70대가 1인당 1540만원(55.2배 격차), 80대가 1030만원(112.1배 격차), 90대가 1인당 210만원(621.3배 격차)을 각각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주식 자산 양극화가 심한 만큼 금융투자소득 관련 세제가 미비한 현 상황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금융투자소득세 도입을 놓고 조세저항이 심한 만큼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우려하는 바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해 공감대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