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여행 수요 증가 속 ‘특화’ 플랫폼 주목
동남아 휴양지‧자녀 교육 등 명소 서비스 확대
[시사저널e=이창원 기자] ‘한 달 살기’ 등 장기 숙박에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제공 중인 ‘리브애니웨어(Liveanywhere)’가 해외 숙소를 확대하는 등 서비스 고도화에 한창이다.
특히 지난 2년 동안 빠른 성장세를 보여왔던 리브애니웨어는 여행객들의 취향과 니즈(needs) 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무기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장기여행객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는 모습이다.
◇ 반려동물‧시골살기 등 숙소 추천…전자계약시스템, 합리적 임대차 계약
9일 여행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한 달 살기’ 여행객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퇴직자,코로나19 이후 증가한 재택근무자들과 자녀의 외국어 교육을 위한 학부모 등 장기 여행객들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리브애니웨어가 지난 4월 발표한 ‘2024년 봄~여름 국내 한 달 살기 트렌드’ 조사 결과에서도 올해 1분기 예약 기준 국내 ‘일주일 살기’와 ‘한 달 살기’는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가장 많은 장기 여행객이 몰리는 제주도의 투숙 기간별 예약 비중은 ‘보름에서 한 달 살기’가 52%, ‘일주일 살기’가 29%로 조사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장기 여행 수요 증가 분위기 속에 리브애니웨어의 거래액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창업 2년 만인 지난 2022년 연간 거래액은 140억원을 돌파했고, 모바일 앱 다운로드는 약 150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한 달 살기’에 대한 수요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점차 높아져 왔지만, 기존 서비스들은 높은 가격과 복잡한 시스템, 숙소에 대한 신뢰성 등 문제들이 존재했다”며 “리브애니웨어는 장기 여행객을 타겟팅(targeting)하고, 장기 숙박 관련 문제 해결에 집중하면서 좋은 성과들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리브애니웨어는 앱 내 검색 필터를 통해 이용자의 다양한 상황에 맞는 장기 숙박 가능 숙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 리브애니웨어의 숙소 검색 페이지에는 ‘바다 근처’, ‘오션뷰’, ‘반려동물’, ‘시골살기’, ‘마당’, ‘돌담’, ‘숲세권’, ‘뚜벅이’, ‘워케이션’, ‘프리미엄’ 등 기존 서비스들과는 다른 카테고리로 숙소들을 분류하고 있다.
현재 리브애니웨어는 전세계 163개 도시에서 장기 숙박이 가능한 숙소를 2만채 이상 제공하고 있다.
올해 태국 치앙마이·방콕, 말레이시아 조호바루, 인도네시아 발리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며 약 1400곳의 숙소를 확보했다. 이들 국가‧도시들은 휴양지, 자녀 교육 등으로 유명한 장소들로 장기 숙박 수요가 높은 곳들이다.
리브애니웨어가 대표적인 장기 여행 플랫폼으로 자리 잡는 과정에서 전자계약시스템을 통한 간편하고 합리적인 임대차 계약 기능도 한 몫을 했다. 체크인 확인 후 정산이 이뤄지도록 했고, 장기 할인, 공과금 시스템 등을 통해 호스트의 운영 부담도 줄였다.
◇ 50억원 규모 Series-A 투자 유치…‘리브후기’ 등 앱 유입 효과 입증
리브애니웨어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면서, 투자도 이어졌다.
지난해 리브애니웨어는 기존 투자사인 에이벤처스, 블루포인트파트너스, 아주컨티뉴엄 등과 SV인베스트먼트, 굿워터캐피털로부터 50억원 규모의 Series-A 투자를 유치했다.
앞서 지난 2022년에는 20억원 규모의 Pre-A 투자릁 유치했고,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약 76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Series-A 투자 유치 당시 조창래 에이벤처스 대표는 “최근 발아하는 국내 워케이션 시장과 회복하는 해외여행 산업에서 한 달 살기를 주도할 수 있는 회사로 판단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이 주관한 ‘아기유니콘 육성 사업’에 최종 선정되기도 했다. 이는 유망 스타트업 기업을 선발해 예비 유니콘으로 육성하기 위해 신시장 개척자금 최대 3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와 같은 투자들을 기반으로 리브애니웨어는 서비스 고도화에 힘을 쏟고 있다. ‘리브후기’, ‘워크애니웨어’ 등은 대표적인 성과들이다.
장기 여행을 마친 이용자들이 앱 내 후기를 올리는 공간인 리브후기는 SNS 등에 흩어져 있는 여행 기록‧정보 등을 모아 여행객들의 앱 유인책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용객들의 키워드에 따라 관련 리브후기가 포털 등의 상위에 노출‧연동돼 신규 이용자의 앱 유입 효과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