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될수록 더 좋아지는 것들이 있다. 서촌에 사는 이현우 씨는 오래된 집과 사물이 지닌 시간의 깊이를 사랑한다.
이어서살다
이사를 경험해 본 이들은 알 것이다. 새로운 집을 만날 때엔 우연과 운명, 운이 모두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것을. 그래서 어떻게 집을 찾았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우연히, 갑자기, 때마침 등의 부사가 종종 쓰인다. 을지로에서 와인 바 ‘십분의일’을 운영하며 글을 쓰는 이현우 씨에게도 집 구하기는 색다른 경험이었다. 독립을 결심한 그는 6개월간 서촌 일대를 탐색했다. 을지로, 시청, 광화문, 서촌 등 역사가 깊은 서울 구도심의 바이브를 좋아하는데, 살 곳으로는 서촌이 항상 1순위였다. 사대문 안쪽 오래된 동네 특유의 정취가 있고 빛이 잘 들어오는 남향집이었으면 싶었지만 마음 같은 집이 나타나질 않았는데, 어느 날 서촌에서 스튜디오를 운영하던 사진작가 친구가 지금의 집을 추천했다. 아직 집이 안 나간 것 같은데, 좋아할 것 같으니 꼭 가보라고. 사진으로 이미 마음을 빼앗긴 그는 한정판 신발을 사러 가듯 아침부터 급히 부동산 사무소를 찾았다. 집은 예상대로 오래되었지만 깔끔하게 관리되어 매력적이었고, 당시 집주인이 신문사 기자라 글을 쓴다는 동질감이 들어 더 좋았다. 후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이 집의 바로 전 주인은 바로 《집을 쫓는 모험》의 저자 정성갑 작가였다. 그 책 속에 언급된 서촌의 빌라에 살게 된 것이며, 글을 쓰는 집주인들의 계보를 이어 나간다는 생각에 이르니 집이 더욱 각별하게 느껴졌다.
아이가 살았던 집이라 천장에 야광별도 있고 키를 재던 흔적도 남아 있는데, 그런 것들을 안고 가면서 이 집과 동네를 오랫동안 즐기면서 지내고 싶어요.
기억을 쌓아가는 시간들
집은 주인을 닮는다는 말처럼, 을지로에서 8년간 와인 바를 운영해 온 이현우 씨의 세심함은 그의 인테리어에서도 드러난다. “손님들을 잘 챙기고 싶은 환대 본능이 있어요. 할머니처럼 이것저것 잘 챙겨주고 싶은 마음이요. 그래서 거실에 소파 대신 큰 테이블을 두었죠. 손님이 셋만 와도 소파 자리가 불편할 것 같았거든요. 한동안은 마치 새로 가게를 연 사장님처럼, 내일은 또 누가 올까 하며 청소를 하곤 했네요.” 이현우 씨는 손님을 배려해 가구를 들이고 오래된 물건들로 공간을 꾸며 그의 직업적 성향과 일관된 취향을 반영했다. 방마다 큰 가구들을 배치한 다음 작은 수납장은 직접 만들거나 중고 거래를 했다. 혼자 살기엔 공간이 넉넉하지만, 선반과 수납장은 물건들로 빼곡히 채워져 있다. 물건을 잘 버리지 못해서다. 초중학교 시절의 교과서, 받았던 편지, 여행지에서 가져온 작은 종이류 등 차마 버리지 못한 것들을 모두 ‘빈티지’라 부르기로 했다. 그렇게 하면 마음이 편해진다고 한다. 집을 대대적으로 고치기보다는 기존의 서사를 이어가기로 택한 그는, 쓰임이 다한 물건들과도 오랜 인연을 유지하고 싶어 한다. 이 집에서 이루고픈 목표 중 하나는 평생의 인연을 얻어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정이 많은 집주인을 품은 이 집에서는 또 어떤 이야기가 쓰일까?
freelance editor 김의미
photographer 이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