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2조6105억···전년比 8.4%↑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네이버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2조6105억원, 영업이익 4727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매출은 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등 주요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과 클라우드 매출 증대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6.8%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18.1%다. 조정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는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한 6384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서치플랫폼 매출은 플레이스광고, 검색광고 등 상품 개선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한 9784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는 초개인화 기술을 기반으로 체류시간 확대와 새로운 수익 창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커머스 매출은 도착보장 및 브랜드솔루션 사용률 증가, 크림의 성장 지속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3.6% 성장한 7190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 전체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1% 성장한 12조3000억원을 달성했으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은 충성도 높은 이용자 확대에 기여했다.
핀테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한 3685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외부 생태계가 지속 확장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20.1% 성장한 17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외부 결제액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전체 결제액의 50%를 넘어섰다.
콘텐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한 4200억원을 기록했다. 환율 변동 등 효과를 제거한 동일 환율 기준으로 웹툰의 글로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1% 성장했다. 특히 일본 지역의 경우 역대 최고 월간유료사용자수(MPU)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클라우드 매출은 인공지능(AI) 관련 매출 발생과 라인웍스 유료 ID수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9.2% 성장한 1246억원을 기록했다. 네이버는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했다.
영업비용은 2조13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늘었다. 이 중 개발·운영비는 6827억원으로, 웹툰엔터테인먼트 미국 나스닥 상장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에도 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인프라 비용의 경우 치지직 정식 서비스 오픈, 신규 인프라 취득 영향으로 20.9% 증가한 1717억원으로 집계됐다. 마케팅비는 네이버제트 연결 제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3668억원이다. 파트너비는 전년 동기 대비 5.9% 늘어난 9166억원으로 나타났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AI, 데이터, 검색 등 핵심 역량을 접목해 네이버 생태계 내 파트너사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며 플랫폼 역량을 강화했고, 수익화 측면에서도 초기 성과를 확인했다”며 ”하반기에도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핵심 사업의 상품 및 플랫폼의 역량 강화를 가속화하고, 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업 기회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나가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