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 사태에 해피머니 상품권 불똥···환불·결제 차단에 소비자 피해 ‘우려’
“모든 포인트 사용 막혀, 사이버머니 됐다”···상품권법 등 제도 보완 필요성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피끓는 심정입니다. 해피머니 환불 좀 살펴봐 주세요.”
현금성 상품권 해피머니 이용 고객들이 돈을 떼일 위기에 놓였다.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가 본격화하자 상품권 결제. 환불이 차단되면서 고객 불안이 커지고 있다. 당국이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고 관리감독 강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단 지적이 나온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메프 사태 파장이 현금성 상품권으로 번지고 있다. 해피머니가 대표적이다. 그간 티몬, 위메프에선 해피머니 상품권을 높은 할인율로 팔며 인기를 끌어왔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해피머니 가맹점 대부분이 결제를 차단하면서 상품권이 무용지물이 됐다.
티메프 사태가 본격화하던 지난달 25일 해피머니 상품권 판매 업체 해피머니아이엔씨는 회사 보유 예치금으로 환불을 안내했으나, 이날까지 환불조치는 전혀 이뤄지지 않아 상품권 구매자들의 불안감은 커지는 상황이다.
제도 미비가 야기한 피해란 지적이 제기된다. 해피머니 상품권을 발행하는 해피머니아이엔씨는 지난 199년 1월에 설립돼 올해로 25년된 회사이다. 지난해 3월 기준 온라인 기준 이용객 1431만명, 파트너 업체는 4만200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해피머니는 연간 1500억원 상당의 상품권을 발행해 왔으나, 최근 발행 규모를 크게 늘렸다.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시중에 풀린 해피머니 상품권은 약 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형적인 증가세였으나 상품권법 폐지 이후 관련 법령이 없다보니, 금융당국은 이상기류를 감지하지 못했다.
피해자들은 해피머니 본사 방문, 대표 고소 등 집단 행동에 나서면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날 국회에서 개혁신당 주최로 열린 해피머니 상품권 피해자모임 대표단 간담회에선 환불 및 사용 정상화,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자리에 참석한 피해자 A씨는 “티몬 사태가 발생했고, 미정산으로 인한 해피머니 회사가 위험하단 소문이 돌면서 하루이틀 만에 해피머니 사용이 가능했던 모든 사용처가 막혔다”며 “티몬 위메프 구입 상품 뿐 아니라 기존 해피머니로 가지고 있던 모든 포인트 사용이 막히면서 사용을 못하고 사이버 머니처럼 갖고 있는 형태가 지금 돼 있다”고 말했다. 또 “이에 대해 해피머니 회사는 지금 재택 근무로 전환한 후 피해자들과 어떤 소통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답답해했다.
해피머니는 범용성, 간평성을 앞세워 실사용 고객을 크게 늘려왔으나, 현재는 사용처가 모두 막혔고 피해자들은 환불만 기다리는 상황이다. A씨는 “피해자들은 티몬, 위메프에서 구매한 고객뿐 아니라 여러 경로를 통해 구매, 소비해왔던 사람들로 더 광범위한 피해가 예상된다”며 “해피머니 회사의 정산을 받아야 하는 사용처에 연쇄피해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피해자들은 환불, 사용처 정상화를 위해 국회가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피해자 B씨는 “류승선 해피머니 대표이사는 현 상황에 대해 책임지고 고객과 소통, 환불을 진행해 달라”며 국회 정무위원회가 류 대표 소환, 해피머니 문화상품권 피해자 구제에 대한 안건을 상정해 논의해달라고 촉구했다.
B씨는 “티몬에서 6~7월 해피머니 문화상품권 판매가 대량으로 이뤄졌고, 해피머니 회사도 이 판매대금을 정산받지 못했단 이유로 지금 환불이나 다른 피해자 구제 대책을 전혀 수립하지 않고 있다”며 “미정산 금액이 얼마인지, 앞으로 계획이 어떤 것인지 전혀 피해자들에게 설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추가 피해자 발생을 막기 위해 금융당국이 규제 및 관리감독 강화에 한단 의견도 있었다. B씨는 “피끓는 심정으로 말씀드린다. 서민들에게 그 돈은 아이들 책값이자 가족 외식비이자 한달 월급”이라며 “그림자 금융에 서민들이 새까맣게 타들어가지 않도록 구제책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상품권법 등 관련 법안 정비, 해피머니 본사 대표 소환 등 국회 차원에서 대응책 마련에 나설지 주목된다.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는 “개미군단인 해피머니 상품권 피해자들은 어디 하소연할데도 없다”며 “피해자 전원이 환불받을 수 있도록 정부에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여야 정당들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청문회, 국감 등 증인에 대한 부분은 국회 정무위원들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당대당으로서도 협조, 요청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만약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정무위원들을 1대 1로 만나 뵙고 요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