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낙찰된 서울 아파트 20%는 낙찰가율 100% 넘어서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건수는 11년 만에 최대치

/ 표=정승아 디자이너
/ 표=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경매시장에서 주택 양극화가 두드러지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 내에서도 자치구별로 낙찰가율의 차이가 커지고 있고, 특히 일부 고가지역 내 물건 낙찰가율은 100%를 넘어서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5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93.7%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8월(93.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다만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따져보면 편차가 컸다. 자치구별로 보면 용산구(103.3%)와 성동구(102.2%), 강남구(101.0%) 순으로 낙찰가율이 높았던 반면 서울 외곽으로 갈수록 낙찰가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도봉구(81.7%)와 관악구(82.2%), 강북구(82.3%)는 80%대에 머무른 것이다.

특히 서울 내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용산구, 송파구 등의 일부 물건들은 낙찰가율이 100%를 넘기며 눈길을 끌었다. 지난달 낙찰된 서울 아파트 129가구 중 20.9%에 해당하는 27가구가 낙찰가율 100%를 넘겼다. 다섯 가구 중 한 곳 꼴이다. 100%가 넘었다는 것은 감정가보다 낙찰가가 더 높았다는 뜻이다. 

일례로 서울 용산구 원효로4가 산호아파트 전용 41㎡는 감정가가 8억3800만원이었는데 이보다 3억1000만원 가량 높은 11억5237만원에 낙찰됐다. 낙찰가율이 137%나 되는 것이다. 해당 아파트는 지난달 시공사 선정 입찰을 진행했을 정도로 정비사업이 성숙기에 진입한 상태다. 

이처럼 서울 일부 지역의 물건 인기는 치솟으며 낙찰가율이 오르는 반면 전반적인 경매시장 상황은 시원치 않다. 매물이 쌓여가는 것이다.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부동산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건수가 총 1만3600여건으로 집계된 것이다. 이는 직전월인 6월(1만983건) 대비 24.1%, 지난해 같은 달(9328건)에 견주어봤을 땐 46.1% 급증한 수준이다. 2013년 7월(1만4078건)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이기도 하다. 

임의경매는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채무자가 돈과 이자를 제때 갚지 못했을 경우 채권자가 대출금 회수를 위해 부동산을 경매에 넘기는 절차다. 강제경매와 달리 별도의 재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법원에 경매를 신청할 수 있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이 주류인 집합건물(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등)의 임의경매 증가세가 가파르다. 7월 총 5484건으로 작년 7월(3547건)보다 54.6% 늘었고 이는 2010년 11월(5717건) 이후 13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은 신청 건수다. 서울의 낙찰가율만 두고 봤을 땐 오름세를 보이는 것은 물론 100% 넘긴 사례가 증가해 호황기인 듯 보이나 영끌 후 대출금을 갚지 못했거나, 전세금 반환에 실패한 집주인의 매물이 경매로 넘어가는 사례가 급증하는 것이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호황기에 무리하게 담보대출을 받아 주택을 매입한 이른바 영끌족들이 높아진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며 임의경매 신청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특히 서울 주요지역 물건의 낙찰가율은 높아지고 있어 주택시장 내 양극화가 경매시장에서도 두드러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