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 동결 이후 하락세 전환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올해 미국 기준금리 인하 축소 전망과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14일(현지시간) 6만5000달러대까지 하락했다.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기준 이날 오후 3시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2.01% 하락한 6만5455달러에 거래됐다. 같은 시간 시총 2위 이더리움도 2.50% 내린 3382달러를 기록했다.

전날 6만7000달러선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이날 한때 6만5달러까지 떨어지면서 6만달러선이 위협받기도 했다.

비트코인은 지난 12일 오전까지만 해도 5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의 둔화 소식에 7만 달러선에서 거래됐다. CPI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대 와 달리 연준이 1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동결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했다. 특히 연준이 올해 말까지 미국 기준금리 인하를 당초 3차례에서 줄어든 1차례만 할 것임을 시사하면서 하락 폭이 커졌다.

여기에 프랑스에서 극우 국민연합(RN)의 집권 가능성이 제기돼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점도 비트코인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코인 데이터 분석업체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모든 가상화폐 자산에 걸쳐 1억8000만 달러 규모의 레버리지(차입) 파생상품이 강제 매각됐다. 이들 상품은 가격 상승에 장기간 베팅해 왔는데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면서 거래소에서 빌린 가상자산을 갚기 위해 강제로 매각된 것이다.

이번주 한 주 동안에만 8억7000만달러 이상의 강제 청산이 이뤄졌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