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사용, 예외적 상황에서만 사용···'핵 공격 없다' 시사
핵 독트린 수정 가능성 언급···필요하면 핵무기 실험도 가능
모든 무력 충돌은 평화적 합의로 끝나···확실히 승리 추구하고 달성할 것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 본회의에 참석했다. / 사진=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 본회의에 참석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러시아가 핵무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핵전쟁으로 확대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것이지만 러시아의 핵 사용에 대한 독트린(교리)을 수정하거나 핵무기 실험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긴장의 여지를 뒀다.

타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SPIEF) 본회의에서 "핵무기 사용은 예외적인 상황에만 가능하다"며 "그런 경우가 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서방에 '핵 권총'을 겨눠야 하느냐는 정치분석가 세르게이 카라가노프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카라가노프는 지난해 세계적인 핵전쟁을 막으려면 유럽을 핵 공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인물이다.

다만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세계 최대 핵보유국으로서 앞으로 핵무기 사용 조건을 명시한 핵 독트린 내용을 변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핵 독트린이 살아있는 도구로 우린 조심스럽게 우리 주위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주시하고 있다"며 "핵 독트린에 어느 정도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여기에는 핵실험도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가 지난 2020년 공표한 핵 독트린은 광범위하게 핵과 대량살상무기 공격을 받거나 재래식 무기 공격을 받아 국가 존립 자체가 위협을 받을 때 대통령이 핵무기 사용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필요하다면 러시아가 핵무기 실험을 할 수 있지만 현재로써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특히 "우크라이나에 승리를 위해 어떤 핵무기 사용도 필요하지 않다"고 강조하면서 "불필요하게 핵 주제를 논하지 말라"고 요청했다. 또 "핵 공격 교환이 발생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모든 무력 충돌은 일종의 평화적 합의로 끝난다"며 "우리는 확실히 승리를 추구하고 있고 이를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이 공개적인 행사에서 이처럼 발언한 것에 대해 로이터 통신은 우크라이나 상황이 전례 없이 위험한 단계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핵 공포를 줄이려는 크렘린궁의 시도로 풀이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미국 무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일부 제한을 완화했고 이에 푸틴 대통령은 미국과 유럽 동맹국을 사정거리에 둔 재래식 미사일을 배치할 수 있다고 맞받았다.

한편 이날 SPIEF 본회의는 푸틴 대통령과 루이스 아르세 볼리비아 대통령, 에머슨 음낭가과 짐바브웨 대통령의 연설과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푸틴 대통령은 연설에서 러시아 경제가 서방의 불법 제재에도 성장하고 있으며 여전히 세계 무역에서 핵심 참여자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다고 자부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