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이후 9억원 초과 거래 비중 52%···9억원 이하 대세였던 최근 흐름과 차이
아파트값 강세, 금리 안정세, 종부세 완화 원인···100억원대 아파트 매매도 4건

[시사저널e=이상구 기자]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2분기 들어 9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지난해 특례보금자리론과 올해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자금 지원 영향으로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늘어난 것과 달라진 상황이어서 주목된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전날까지 신고된 2분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 7450건 가운데 9억원 초과 거래는 3885건으로 52.1%를 차지했다. 반면 9억원 이하 거래는 3565건으로 47.9%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금액대별 거래 비중은 지난해 9억원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한 특례보금자리론 출시 이후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전체 거래의 절반을 넘었다. 특례보금자리론 지원이 6억원 이하로 축소됐던 지난해 4분기에는 6억원 이하 거래가 크게 늘면서 9억원 이하 비중이 56.3%에 도달하기도 했다.

올 1분기에도 특례보금자리론 바통을 받은 신생아 특례대출 출시로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절반이 넘는 51.8%를 차지했지만 2분기 들어서는 절반 이하로 줄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금액별로는 9억원 초과∼15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올 1분기 30.3%에서 2분기 들어 33.3%로 증가했다.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17.9%에서 18.8%로 늘었다. 

서울 용산구 나인원한남 모습. / 사진=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나인원한남 모습. / 사진=연합뉴스

반면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올 1분기 24.4%에서 2분기 21.1%로, 6억원 초과∼9억원 이하는 27.4%에서 26.7%로 각각 줄었다. 정책자금 지원 대상이 아닌 9억원 초과 거래 증가와 관련, 최근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4%대로 안정되면서 전반적 매수심리가 회복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국토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 1∼2월 2000건 대에 그쳤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월 들어 4210건으로 늘었다. 이어 4월에도 4352건을 기록하며 지난 2021년 7월 4796건 이후 2년 8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거래량이 늘면서 아파트값 상승세도 지속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0.06% 올라 10주 연속 상승했다. 오름폭도 지난해 10월 말 0.07%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고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서초(0.11%), 강남(0.09%), 송파구(0908%) 등 강남권과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마포(0.08%), 용산(0.09%), 성동구(0.19%) 등 도심 가격 상승폭이 컸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최근 1주택자 종합부동산세 폐지 또는 완화 등 중산층을 겨냥한 감세 움직임 확산도 고가 아파트 매수세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00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증가 추세다. 2분기 들어 매매 신고를 한 10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는 총 4건이다. 올 1분기와 지난해 4분기의 각각 1건은 물론, 아파트값이 강세였던 지난해 3분기 3건보다도 많은 수치다. 장윤정 부부가 소유했던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244.34㎡와 한남더힐 전용 240㎡가 각각 120억원에 거래됐다.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200.67㎡가 109억원, 나인원한남 206.89㎡가 103억원에 각각 매각됐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