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31.5%, 케이뱅크 33.2%, 토스뱅크 36.3% 집계
당국 목표치 30% 일원화 및 산정 방식 개선 영향···인뱅 모두 목표 달성
건전성 부담도 덜어···대내외 여건 변화 반영한 리스크 관리 역량과 CSS 고도화 효과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로고. / 사진=연합뉴스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로고.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시사저널e 기자] 올해 1분기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목표치인 30%를 나란히 넘어섰다. 금융당국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규제 완화가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25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카카오뱅크 31.5%, 케이뱅크 33.2%, 토스뱅크 36.3%로 집계됐다. 해당 수치는 은행의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에서 코리아크레딧뷰로(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 대한 대출 잔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2021년 인터넷 은행이 중·저신용층에 대한 대출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출범 취지에 맞게 영업하도록 매년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를 정해 공시하도록 했다. 올해부터는 중·저신용 대출자 대출 비중 산정 방식을 기말 잔액에서 평균 잔액으로 바꾸고 중·저신용 대상 신용대출에 개인사업자 신용대출과 서민금융대출 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잔액도 추가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이 건전성을 관리하면서 안정적으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공급을 지속할 수 있도록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계획을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중·저신용대출 목표치는 3사 모두 30%로 결정됐다. 앞서 지난해 말 기준 목표치는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로 각각 달랐다. 결과적으로 모두 목표치인 30%를 달성한 것이다.

개별 은행별로 보면 카카오뱅크의 지난 1분기 개인사업자 신용대출을 포함한 중·저신용대출 평균 잔액은 4조62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잔액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지난 1분기 공급한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동기보다 10%포인트 증가한 35.5%에 달했다"고 말했다.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 3000억원의 중·저신용대출을 공급했으며 토스뱅크는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평균 잔액이 4조1900억원으로 집계됐다.

규제가 완화되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도 덜게 됐다는 평가다. 그 동안 인터넷전문은행들은 목표 비중을 채우기 위해 고신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부과하고 중·저신용자에게 낮은 금리를 부과하는 금리 역차별 정책을 쓰기도 했다. 또한 일부 인터넷전문은행은 지난해 말 목표 비중을 맞추기 위해 고신용자 신용대출 공급을 중단하기도 했다.

순수 중·저신용대출만 놓고 보면 인터넷전문은행 연체율은 1% 중후반대을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건전성을 보였다. 대내외 여건 변화를 반영한 리스크 관리 역량과 신용평가모형(CSS) 고도화를 통해 포용금융과 지속적인 포용금융의 전제조건인 건전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는 분석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꾸준히 공급해 포용금융을 이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케이뱅크는 신용평가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이버페이와 협업해 비금융데이터 기반 '네이버페이 스코어'를 지난 3월 도입했으며 이동통신 3사의 신용평가 합작사 통신대안평가준비법인이 향후 선보일 통신데이터 기반 모형 '텔코CB'도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대출의 지속적인 공급과 자산건전성 관리를 위해 신용평가모형을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토스뱅크는 자체적인 신용평가모형인 TSS(Toss Scoring System)의 고도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상환능력이 있지만 기존 제도권에서 저평가돼온 건전한 중·저신용자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