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6조6546억···전년比 3.3%↑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KT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6546억원, 영업이익 5065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4.2% 증가했다. 유무선 사업 성장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클라우드, 부동산 등 핵심 사업 분야 이익이 개선된 결과다.
별도기준 서비스 매출은 4조406억원을 기록하며 2010년 이후 14년 만에 1분기 기준 서비스 매출 4조원을 돌파했다. 매출 증가와 마케팅 비용 절약으로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3938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1조7365억원을 기록했다. 5G 가입자가 994만8000명을 기록하며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74%를 차지하고, 로밍 사업의 성장과 알뜰폰(MVNO) 시장 확대 결과다.
무선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성장한 1조6498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지난 1월 5G 중저가 요금제 10종과 다이렉트 요금제 ‘요고’ 8종을 선보이며 5G 요금제를 확대했다.
유선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1조3224억원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매출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 부가서비스 확대 등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6208억원을 기록했다. 미디어 사업은 인터넷(IP)TV 가입자 확대와 프리미엄 요금제 판매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 성장한 5186억원을 기록했다.
기업서비스 사업 매출은 기업인터넷·데이터 사업 성장 속에서 기존 수주한 대형 사업에서 발생한 매출과 기업의 AX(인공지능과 디지털전환(AX)의 합성어) 서비스 수요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5% 성장한 8950억원을 기록했다. KT는 기존 통신서비스에 AI 솔루션을 접목한 AX 통신서비스와 산업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기업 수요에 대응해 성장세를 확대할 계획이다.
AICC·사물인터넷(IoT)·스마트모빌리티·스마트공간·에너지 등 5대 성장사업 매출도 AICC, IoT를 중심으로 대형사업의 수주와 고객 확대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한 928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금융사 AICC 도입 확대와 원격관제, 환경, 안전 등 IoT 수주 활성화로 AICC와 IoT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두자릿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주요 그룹사 매출과 영업이익도 개선세를 보였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말 수신 잔액 24조원, 여신 잔액 14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1%, 23.6% 증가했다. 고객수도 올 1분기 1000만명을 돌파했다. 케이뱅크는 이같은 성장세를 토대로 올 상반기 내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며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BC카드는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와 효율적 판매관리비 집행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다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9356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전문 자회사 KT에스테이트는 분양 및 임대 사업 간 균형 잡힌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3% 늘어난 매출 135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2022년 11월 오픈한 르메르디앙·목시 호텔의 안정적인 영업과 소피텔앰버서더 등 객실 점유율(OCC)이 꾸준히 증가하는 구조적인 성장을 이어갔다.
KT클라우드 매출은 글로벌 고객 중심의 코로케이션 매출 증가와 DBO(Design·Build·Operate) 사업 수주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8% 성장한 1752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통해 올해부터 분기배당을 도입했으며, 최근 1분기 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발표했다. 또한 전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유 중인 자기주식 4.41% 중 2%인 514만3300주를 소각한다고 발표했다.
장민 KT 재무실장(CFO) 전무는 “KT그룹은 B2C, B2B 사업과 그룹사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AICT 기업으로의 도약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모두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