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GDP 전분기 대비 1.3% 증가···시장 전망치 뛰어넘어
국내 증권사 전망치 평균 2.1→2.4%···해외IB 중간값 2.0→2.5%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당초 2.2%로 제시했던 정부의 연간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상당폭 높인다는 데에 폭넓은 공감대가 이뤄진 분위기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1.3%(속보치) 증가하면서 시장 컨센서스(0.6%)를 뛰어넘은 데 따른 것이다.
당초 기재부는 GDP가 분기별로 대략 0.5~0.6%씩 불어난다는 시나리오 하에 연간 2.2% 성장률은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1분기에 0.7~0.8%포인트 초과 성장한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연간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다.
기재부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예상경로를 고려하면서도 연간 성장률이 2.5%를 웃돌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2% 후반대까지도 성장률이 올라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뜻이다.
극단적으로 2~4분기 모두 0%로 '제로 성장'이 이어지는 시나리오에서도 연간 성장률은 2.3% 정도로 추정된다.
국내·외 투자업계 시선도 다르지 않다. 지난 25∼26일 국내 10개 증권사(한국투자·SK·KB·하나·메리츠·유진투자·상상인·삼성·하이투자·신한투자) 리서치센터의 연간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4%로 집계됐다. 1분기 GDP 발표 직전 전망치(평균 2.1%)보다 0.3%포인트 상향조정된 수치다.
삼성증권은 기존 전망치보다 3.0%포인트 높여 가장 높은 2.7%를 제시했다. 2.6% 및 2.5% 각 1곳씩, 2.4% 2곳, 2.3% 3곳, 2.2% 1곳 등이다. KB증권은 전망치 자체를 2.1%에서 수정하지 않았지만 '2%대 중반'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겠다고 언급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전망치 중간값도 2.0%에서 2.5%로 0.5%포인트 높아졌다. 바클레이즈는 1.9%에서 2.7%로 대폭 높였다. JP모건은 2.3%에서 2.8%로, 골드만삭스는 2.2%에서 2.5%로, BNP는 1.9%에서 2.5%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기재부는 4~5월 산업활동지표 및 수출입 동향까지 반영해 6월 하순, 늦으면 7월 초순에 연간 성장전망치를 업데이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