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라그나로크 온라인' 확률 조작 의혹 조사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온라인' 이미지. / 이미지=그라비티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온라인' 이미지. / 이미지=그라비티

[시사저널e=박금재 기자] 게임사와 유저 사이의 신뢰가 깨지고 있다. 넥슨 외에도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을 조작한 게임사가 존재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현재까지 3개 이상의 게임사가 자사 게임의 확률을 임의적으로 조정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현재 상황이 ‘확률 조작 게이트‘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그라비티가 ‘라그나로크 온라인‘ 게임 내 아이템의 확률을 조작했다는 의혹이 나오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 공정위는 해당 게임의 확률 허위표시 및 조작 민원을 사건으로 접수하고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그라비티는 확률형 아이템 정보공개 의무화를 담은 게임산업법 시행을 이틀 앞두고 지난 3월 20일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판매하고 있는 확률형 아이템 정보를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그라비티는 "전수 검사 결과 일부 아이템이 게임 내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발견했다"면서 수정 사실을 밝혔다. 하지만 기존 공시와 확률이 다른 아이템이 100개 이상으로 드러나면서 유저들 사이에서는 확률을 조작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불이 붙었다.

웹젠도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을 속였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뮤 아크엔젤‘ 게임 내 일부 상품의 뽑기 확률이 표기한 것과 다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해당 상품 가운데 일정 횟수 이상의 뽑기를 진행하기 전까지는 아예 아이템을 얻지 못하는 0% 확률의 아이템도 존재했다.

결국 웹젠은 피해를 입은 유저들을 대상으로 환불에 나섰다. 하지만 공정위가 웹젠을 상대로 확률조작 의혹 수사에 착수하면서 논란이 커질 가능성도 열렸다. 수사 결과에서 단순한 표기 오류가 아니라 조작 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발각될 경우 유저들의 항의가 거셀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확률 조작 사태가 번지는 것을 놓고 예견된 수순이란 반응이다. 이전부터 다수의 게임사들이 확률 조작에 나선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아직 발각이 되지 않았을 뿐 리스크에 노출된 게임사의 수가 10개 이상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게임물관리위원회는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확률형 아이템을 규제하는 데 나섰다. 확률형 아이템 정보공개 의무 위반이 적발될 시 1차로 게임위가 시정요청, 2·3차로 문체부가 시정 권고, 시정명령을 조치할 예정이다. 시정명령에 의해서도 이행되지 않은 경우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다만 모니터링단의 실효성에 대해선 아직까지 의문부호가 붙고 있다. 모니터링단의 규모가 24명에 불과해 모든 게임을 살펴보기가 어려운 데다 인력들의 전문성 역시 부족하단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과거 게임 로그를 들여다보기 어렵다는 점도 모니터링에 난관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업계는 게임사의 확률 조작보다 지극히 낮은 확률을 더 큰 문제로 보고 있다. 일례로 위메이드 ‘나이트 크로우’에서 신화 등급 탈것 아이템을 얻기 위해선 0.01%라는 극악의 확률을 뚫어야 한다. 유저들 사이에선 정부가 직접 나서서 일정 이상의 확률을 설정하도록 강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는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우리나라 게임들의 확률형 아이템에 설정된 확률이 지극히 낮은데 그것마저도 조작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유저들의 신뢰를 잃고 있다"면서 "유저들 사이에서 보이콧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어 게임사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