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비이자이익 모두 늘었음에도 충당금 2배 규모로 적립해 순익 상쇄
연체율 관리가 향후 실적 변수···전년 말 대비 0.11%포인트 상승
업비트 제휴 통해 수수료 이익 증가 효과···수익성 구조, 지속 가능 여부 의문
올 1분기 실적 반등 못한다면 연체율 변수가 IPO 추진 시 기업가치 가늠할 변수로 작용할 수도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케이뱅크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약 8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올해 1분기를 기점으로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모두 늘었음에도 충당금을 2배 규모로 적립하면서 순익을 상쇄한 만큼 향후 연체율 관리가 실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이번 1분기에 유의미한 실적 반등이 없다면 IPO(기업공개) 추진 시 연체율이 기업가치 산정에도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여신과 수신 등 외형적인 성장세가 지속됐음에도 충당금 적립이 크게 증가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8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케이뱅크의 수신 잔액은 19조700억원, 여신잔액은 13조8400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수신잔액은 4조4600억원(30.6%), 여신잔액은 3조600억원(28.4%) 증가했다. 케이뱅크의 2023년 이자이익 4504억원으로 2022년 3852억원 대비 16.9% 증가했고 비이자이익은 338억원으로 2022년 65억원 대비 420% 확대됐다.

비이자이익은 ▲동행복권 간편충전 서비스 도입 ▲KB증권·한국투자증권·하나증권 등 증권사 계좌 개설 제휴 확대 ▲다양한 제휴 보험 출시 ▲제휴 카드 확대 등을 통해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그럼에도 당기순이익은 많이 감소했다. 원인은 충당금 적립이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연간 2927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다. 전년(1361억원) 대비 1566억원(115.1%)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이에 따라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과 비교해 708억원 감소했다. 충당금을 제외한 이익(충당금 적립 전 이익)은 지난해 3134억원으로 전년보다 35.2% 증가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지난해 경기 변동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충당금 적립액을 대폭 늘렸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충당금 적립 배경에는 연체율 상승이 자리잡고 있다. 케이뱅크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0.96%로 전년 말(0.85%) 대비 0.11%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3분기 말(0.9%)과 비교해도 0.06%포인트 상승했다. 건전성 지표가 악화하고 있어 미리 신용 부실에 대한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어느 때보다 향후 실적을 가늠할 변수로 연체율 관리가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케이뱅크의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올해 추진 중인 IPO가 표류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가상화폐 시장이 주목받는 가운데 케이뱅크의 IPO 작업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올해 1분기 실적이 반등하지 못한다면 건전성 악화에 따른 대규모 충당금 이슈가 기업가치를 결정할 변수로 부상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지난 2022년 6월 케이뱅크는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하면서 기업가치를 10조원으로 제시했으나 시장 여건 악화를 이유로 지난해 2월 상장을 철회했다. 이후 지난 1월 이사회를 통해 IPO 추진 안건을 의결하고 다시 상장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건전성이 악화됨에 따라 순이익이 급감했고 여기에 단순히 가상화폐 거래소 수수료에 의존한 은행의 수익성이 지속 가능한 구조가 맞냐는 지적도 나온다. 

케이뱅크는 국내에서 최초로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이다. 지난 2020년 업비트와 제휴를 맺으며 신규계좌와 수신금액이 크게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업비트 이용자들이 원화를 입출금할 때마다 일정 수수료를 받는다 .지난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서 받은 수수료 수입만 108억원으로 동년 3·4분기 당기순이익의 3분의 1 수준이다. 가상화폐 시장의 호황기였던 2021년에는 업비트 연계 계좌를 통해 292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올린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출과 소비자 혜택 확대라는 설립 취지와 달리 가상화폐 거래소에 지나치게 의지하는 모습"이라며 "향후 코인런이나 뱅크런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