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관 BI, 한국 기업 1분기 매출 반등 예상
마이크론 실적 전망, 한국 기업 2분기 실적에 호재 분석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로고. /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로고.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상구 기자] 국내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회복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올 1분기 실적도 개선될 전망이다. 

31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 와카스기 마사히로 선임 애널리스트는 최근 ‘한국 메모리칩 수출 회복’ 및 ‘마이크론 메모리 부문 실적의 함의’ 등 보고서를 통해 국내 메모리업체 실적 개선을 전망했다.

보고서는 산업통상자원부 자료 등을 인용해 한국 D램 수출이 2월까지 4개월 연속 전년 대비 증가세를 유지했단 점을 근거로 들었다. 구체적으로 2월 D램 수출액은 전년대비 90%, 전월대비 12% 증가한 24억달러(약 3조 2000억원)였다. 2월 D램 가격이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 가운데 반도체에 탑재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증가 등이 D램 시장 회복세를 견인했단 분석이다.

보고서는 지난해 3분기 D램 시장 점유율(비트 공급 기준)이 삼성전자(39%), SK하이닉스(34%), 마이크론(23%) 순이란 시장조사업체 ‘가트너’ 자료를 인용하며 D램 수출 회복세를 감안할 때 한국 기업들의 1분기 매출도 강한 반등을 예상했다. 실제 지난달 한국의 낸드플래시 수출은 기록적 수준으로 반등, 전년대비 82%, 전기 대비 3% 늘어난 8억90000만 달러(약 1조2000억원)로 집계됐다. 가격 기준 낸드 시장 점유율은 2022년 기준 삼성전자(35%)와 SK하이닉스(18%) 등 한국 기업들이 과반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낸드 평균 판매단가(ASP)가 1분기에 전 분기 대비 23∼28% 상승한 데 이어 2분기에도 13∼18%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한국 기업들의 낸드 부문 매출 호조도 이어질 가능성이 예고된다. 보고서는 앞서 나온 마이크론의 실적 전망도 국내 반도체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마이크론은 최근 실적 발표를 통해 2024회계연도 2분기(12∼2월) 매출이 전년대비 58% 증가한 58억달러(약 7조 8000억원)라다. 

마이크론의 2분기 D램 판매는 전년대비 53%, 전기대비 21% 각각 늘었는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1분기 실적도 개선될 전망이다. 마이크론은 3분기(3∼5월) 매출이 전년대비 76%, 전분기 대비 13% 늘어난 66억달러(약 8조 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시장 예상보다 10% 가량 높은 수준이다. 

KB증권도 메모리 반도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을 근거로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3% 상향, 전년대비 418% 증가한 34조 430억원으로 예상한 바 있다. 이같은 기대감을 반영, 삼성전자 주가는 19일 종가 대비 13% 가량 상승했다. SK하이닉스 주가는 지난달 5일 종가 대비 38% 오른 상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