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사장 등 경영진과 식사···차세대 디바이스 시너지 추진
오후 이재용 회장과 비공개 회동 예상···AI 반도체 및 XR 생태계 조성 협업 가능성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2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를 방문해 XR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사진 왼쪽부터) 조주완 LG전자 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권봉석 (주)LG CO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LG전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2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를 방문해 XR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사진 왼쪽부터) 조주완 LG전자 CEO,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권봉석 (주)LG CO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 사진=LG전자

[시사저널e=고명훈 기자]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28일 LG전자 경영진과 만남을 가졌다. 같은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의 회동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저커버그 CEO는 이날 각 회사 경영진과 시간을 갖고, 확장현실(XR) 및 인공지능(AI)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진다. 

저커버그 CEO는 먼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를 방문해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과 오찬을 가졌다. 1시간 정도의 식사 자리에서 XR 신사업 및 AI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전략적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는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를 비롯해, 조 사장과 박형세 LG전자 HE사업본부장 등이 함께 참석했다. 권 COO는 메타와 다른 LG 계열사 간 협력 가능성을 고려해 참석하게 됐다.

LG전자 경영진은 이날 회의에서 저커버그 CEO와 양사 차세대 XR 기기 개발과 관련된 사업 전략부터 구체적 사안에 이르기까지 심도 깊게 논의했다. 조 사장은 메타의 혼합현실(MR) 헤드셋 ‘퀘스트3’와 스마트글라스 ‘레이밴 메타’를 직접 착용해 보기도 했으며, 메타가 선보인 다양한 선행기술 시연을 관심 있게 살핀 것으로 전해진다. 또 메타의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인공지능(AI)에 큰 관심을 나타내며, 온디바이스 AI 관점에서 양사의 시너지 창출 가능성에 대해 의논했다.

XR 기기는 LG전자가 추진 중인 신성장동력 사업 중 하나다. 앞서 지난해 말 조직개편에서 가상공간 영역에서의 신사업 추진를 가속하기 위해 HE(생활가전)사업본부 내 본부 직속의 XR사업담당을 신설하기도 했다.

저커버그 CEO는 여의도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메타코리아 본사를 방문해 국내 XR 스타트업들을 만난다.

이후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도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과의 만남은 비공개로 이뤄질 예정이다. 저커버그 CEO는 이 회장과 미국 하버드 대학교 동문 사이로, 지난 2013년과 2014년 두차례 삼성전자를 방문한 경험이 있다. 

삼성전자와는 AI 반도체 관련 협의가 중점 내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는 자체 개발한 LLM ‘라마3’를 위한 주문형 반도체 개발 협의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메타를 비롯해 최근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AI 반도체 시장을 독점 중인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체 칩 개발에 나서는 추세다. 삼성전자는 현재 네이버와도 LLM용 ASIC 칩을 개발 중이다.

 XR 생태계 공동 조성에 대한 논의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구글·퀄컴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XR 헤드셋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다. 올 연말 첫 제품 출시가 유력하다. 이번 회동을 기점으로 메타의 생태계 합류 가능성이 점쳐진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