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 이르면 다음달 새마을금고 첫 검사 실시 예정
기업대출 규모와 적정성·대손충당금 적립·내부통제 체계 등 중점 수검
지난달 말 기준 새마을금고 연체율 6%대···업권별 연체율 중 상승 폭 가장 커
지난해 말 이어 부실채권 추가 매각 단행 여부 주목···캠코 인수 여력 및 검토 필요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금융당국이 다음달 이르면 새마을금고에 첫 검사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중점 수검 항목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무엇보다 지난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를 겪었던 새마을금고 연체율이 최근 다시 빠르게 상승한 만큼 부실채권 추가 매각 단행 여부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예금보험공사는 이르면 다음달 새마을금고에 대한 첫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는 이달 초 행정안전부가 금융위원회와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새마을금고는 다른 상호금융권과 달리 금융위원회가 아닌 행정안전부가 감독권을 갖고 있다. 지난해 7월 일부 개별금고의 부실을 계기로 새마을금고의 감독권을 금융위로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금융당국과 행정안전부가 협의체를 만들어 새마을금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상시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검사 및 사후조치도 협의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금융당국은 먼저 대형 및 부실 금고 위주로 검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기업대출 규모와 적정성, 대손충당금 적립 적정성, 내부통제 체계 등을 중점적으로 살필 계획이다. 어느 때보다 최근 새마을금고의 가장 큰 문제는 연체율 상승이다. 20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의 지난달 말 기준 연체율은 6%대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5% 수준에서 한 달 만에 1%포인트 이상 급등한 수치다. 

같은 기간 금융당국이 관리하는 업권별 연체율 중 상승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는 주요 건전성 수치를 반기 단위로 공개하고 있는데 작년 상반기 기준 전체 연체율은 5.41%였다. 작년 말까지도 5%대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연체율이 꿈틀거리기 시작한 것이다. 부동산 경기가 계속 악화하면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유사한 성격의 건설 관련 대출 부실화가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지난해 7월 새마을금고는 연체율 상승으로 뱅크런 위기에 놓인 바 있다. 뱅크런(Bank Run)은 은행의 대규모 예금인출사태를 의미한다.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은행 건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비관적으로 인식하면 그동안 저축한 돈을 인출하려는 생각을 갖게 되면서 대규모 예금인출이 전격적으로 일어난다. 위기가 본격화된 시기인 지난해 6월 연체율은 6.1~6.4%였다. 연체율이 6%를 넘어서면서 금고 부실 우려가 커지자 지난해 7월 초 뱅크런이 일어난 것이다. 이후 행정안전부와 금융당국의 관리·감독 아래 연체율은 지난해 하반기 5%대로 낮아졌지만 최근 건설·부동산업 대출 부실이 커지면서 다시 6%대로 올라섰다는 설명이다.

이에 새마을금고와 금융당국이 부실채권 매각을 추가로 추진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앞서 새마을금고는 부실채권 3조원을 손자회사인 'MCI대부'(1조원)와 캠코(2조원)에 넘기겠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캠코는 작년 말 1조원 가량의 부실채권을 인수해주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캠코의 인수 여력도 살펴봐야 하고 부실 채권을 캠코에 매각해야 할 곳이 새마을금고만 있는 것도 아니다"며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다음달부터 개별 금고 부문 검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지적사항의 시정내용,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업무 등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