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손보사 2.5~3% 자동차보험료 인하 발표
저축은행 업황 전반 실적 부진 및 건전성 악화 지속
SBI저축은행, 자체채무조정 프로그램 통해 약 1300억원 규모 금융지원 실시
대규모 상생금융 방안 아니더라도 중금리대출 공급 확대 및 지역 자금 중개 역할 방안 논의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상생금융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2.5~3%의 자동차보험료 인하안을 발표한 가운데 관련 논의가 저축은행권으로 확대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업황 전반이 악화되면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저축은행업계는 상생금융 참여 자체가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대규모 상생금융 방안은 아니더라도 햇살론 등 중금리대출 공급을 확대하고 지역 자금 중개 역할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조만간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과 간담회를 가질 계획이다. 이는 금융당국이 연말을 기점으로 추진하는 업권별 릴레이 간담회의 연장선이다. 저축은행 순서는 업권별 간담회 중 제일 마지막일 것으로 전해졌다.
그 동안 금융당국은 업권별 간담회를 통해 상생금융 방안을 독려해 왔다. 지난 21일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자영업자·소상공인 등을 위한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지원 규모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18조9369억원의 약 10% 수준인 2조원대로 은행권 상생금융으로는 역대 최대다. 지원액은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취약계층과 취약계층 지원기관 등에 대한 지원비용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금융 종료 이후 높아진 금리 부담의 일정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춰 차주들이 체감할 수 있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보험사들도 상생금융 방안의 일환으로 자동차보험료 인하를 예고했다. 손보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화재, 메리츠화재, KB손해보험, 현대해상, DB손해보험 등 대형 손해보험사들은 자동차보험료에 대한 구체적인 할인 폭을 결정해 속속 내놓고 있다.
먼저 삼성화재는 내년 2월 중순 책임개시 계약부터 개인용 자동차보험료 2.6%, 이륜 자동차보험료에서 8% 수준의 보험료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메리츠화재도 개인용 자동차보험료에서 3%, 이륜 자동차보험료에서 10% 수준으로 보험료를 인하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발표했다. KB손보 또한 내년 2월부터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2.6%가량 인하할 것임을 알렸다.
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비슷한 여신 기능을 가진 저축은행업권이 상생금융에 동참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만 저축은행들은 업황 악화에 따라 상생금융 방안을 내놓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저축은행사 대부분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적자가 예상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더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상태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올 3분기까지 141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상반기 순손실(960억원)에서 47.2%(453억원) 더 늘어난 규모다.
건전성도 악화됐다. 올 3분기 말 연체율은 6.15%로 전 분기(5.33%) 대비 0.82%포인트 상승했다.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6.40%로 전 분기 대비 0.79%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이 6.72%로 1.02%포인트, 가계대출이 5.81%로 0.43%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일각에서는 이런 대내외적 악재를 고려해 기존에 있는 저축은행의 서민금융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연체율 관리를 통해 건전성 회복을 도모하면서 중·저신용자를 위한 중금리대출 공급을 더 확대하고 지역 자금 중개 역할을 제고하는 방식이다. 업황 여력이 안 돼 상생금융에 동참하기 어렵다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서민금융 공급 확대 논의를 위주로 검토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 간담회 후 "2금융권의 경우 은행권과 같은 모델로 가기는 어렵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은행에 준하는 수준의 상생금융 방안을 내놓기가 어렵다는 것이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권의 공통된 시각이다보니 무리한 요구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최근 SBI저축은행은 취약차주 지원을 위해 도입한 자체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약 13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했다. SBI저축은행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채무조정 프로그램의 대상 및 지원 금액 확대뿐만 아니라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이행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SBI저축은행을 시작으로 다른 저축은행들도 상생금융 방안을 내놓을지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대의적인 관점에서 상생금융 동참 필요에 공감한다면서도 모든 저축은행이 참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적자 운영이 이어지고 내년 업황도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대출 조건 완화 등의 상생안은 타 업권 대비 규모가 작은 저축은행의 경영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