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장기화로 상환 능력 악화
연체율 상승 전망 따라 충당금 규모 확대
수익성보다 건전성 관리 초점 전환 불가피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고금리 장기화로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악화되면서 주요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 대출 문턱을 올리고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를 늘리는 등 리스크 관리에 주력해야 하는 만큼 성장 모멘텀이 약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카드사들의 주름살이 깊어진다.
2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3분기 실적을 발표한 5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하나·우리카드)의 평균 연체율(30일 이상 연체된 채권 비율)은 1.32%로 일제히 1%를 넘었다.
먼저 신한카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0.86%보다 0.5%포인트 상승한 1.36%를 기록했다. 특히 하나카드의 경우 같은 기간 0.77%에서 1.66%까지 오르며 연체율이 가장 크게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0.78%에서 올 1분기 1.22%로 상승했고 삼성카드(0.7%→1.1%), 우리카드(0.92%→1.36%)의 연체율 또한 모두 1%를 넘겼다.
카드사의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또한 지속적으로 악화했다. 금융기관 여신은 자산건전성분류기준(FLC)의 건전성 정도에 따라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5단계로 분류된다. 이 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합계를 고정이하여신으로 취급한다. 사실상 부실채권으로 규정했다. NPL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로 '부실대출'을 의미한다.
하나카드의 올 3분기 NPL 비율은 1.25%로, 5개 전업카드사 중 가장 높았다. 이는 전년 동기(0.52%) 대비 0.73%포인트 오른 것이다. KB국민카드는 지난해 3분기 0.88%에서 0.56% 포인트 증가한 1.14%로 집계됐다. 우리카드는 0.73%에서 0.38%포인트 상승한 0.11%, 신한카드는 0.81%에서 0.43%포인트 상승한 1.24%로 나타났다.
연체율이 높아지자 각 카드사들은 대손충당금을 늘리며 부실에 대비하고 있다. 대손충당금이란 회수 불가능한 채권으로부터 발생하는 손실을 충당하기 위한 자금으로 지난 2018년부터 적용된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카드사들은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3분기 누적 기준 대손충당금은 신한카드 6381억원, 삼성카드 5617억원, KB국민카드 5205억원, 하나카드 3923억원 등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KB국민카드가 94.9%로 가장 높게 증가했고 삼성카드 89.9%, 신한카드 72.9%, 하나카드 59.1% 순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카드사들의 순이익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한카드의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 5877억원에서 올해 3분기 4691억원으로, KB국민카드의 경우 3599억원에서 2724억원으로 각각 20.2%, 22.7% 감소했다. 하나카드는 1641억원에서 1274억원으로 23.1%, 우리카드는 1792억원에서 1174억원으로 34.1% 순이익이 줄어들었다. 삼성카드의 올 3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은 4301억원으로 전년 동기(4565억원) 대비 5.8% 순익이 감소했다.
문제는 향후에도 연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건전성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산건전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최대한 쌓아야 한다는 것이다. 은행보다 리스크가 큰 카드업계의 경우 특히나 수익성 개선보다는 건전성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둔 경영전략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면서 카드업계의 고심은 깊어졌다. 최근 은행채 발행 한도 제한이 풀리면서 시장 수요가 카드사 채권보다 은행 채권에 몰릴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등 자금 조달 여건까지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통상 카드사들은 은행과 달리 예금 기능이 없어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를 발행해 영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한다.
일각에서 이 같은 카드사들의 부담이 결국 소비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우려한다. 업계는 카드대출을 이용하는 취약 차주의 부담이 늘고 카드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막기 위해 고객 혜택을 축소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리스크는 리스크대로 관리하면서도 동시에 실적 방어를 위해 카드사별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