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소속 의원들, 19일 국감서 이종호 티맵 대표 질타
티맵, 2021년 고객정보 4천건 유출로 과징금 5200억·과태료 600만원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2021년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내 정부로부터 5162억원의 과징금 처분을 받은 티맵모빌리티가 개인정보보호 관련 인력을 확대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19일 이종호 티맵모빌리티 대표는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개인정보 관련 부분 사회적 책임을 무한히 생각하고 있다. 2021년 회사가 출범한지 얼마 되지 않아 미흡한 부분이 있었지만, 지난해와 올해 인력 채용과 (보안) 투자를 계속해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티맵모빌리티는 지난 2021년 앱 서버 기능 업데이트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400여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됐다. 개인정보위는 티맵모빌리티에 과징금 5162억원과 과태료 600만원을 부과한 바 있다.
국회 정무위 소속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티맵모빌리티는 이같은 정부 제재에도 별도 피해보상 등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황 의원을 비롯한 정무위 소속 의원들은 티맵의 개인정보 관리 실태를 지적했다.
황 의원은 “주차장 서비스는 앱에서 본인뿐 아니라 타인의 차량도 동의를 받지 않고 임의로 등록할 수 있다. 타인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할 경우 위치정보가 고스란히 노출된다”며 “티맵은 안이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티맵이 주차장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위치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있지 않냐. 범죄에 이용될 우려가 있지 않냐”고 지적했다.
이에 이 대표는 “티맵은 다른 어떤 회사보다도 더 높은 보안 정책을 시행 중”이라며 “아무리 좋은 서비스를 만들더라도 서비스를 오용하고 남용하는 이용자들의 문제도 있지만, 회사도 오용 소지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방통위 등 여러 기관과 서비스 개선 노력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1년 사고와 관련 적극적인 피해 보상이 없었단 황 의원과 양정숙 무소속 의원의 지적엔 "2021년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상황에 광범위하게 고객에 공지했고, 가능성이 높은 SNS 등을 통해 전달했다. 구체적인 피해 사례를 접수한 적은 없다“며 ”무한한 책임감을 갖고 앞으로도 개인정보의 안전한 유지를 위해 투자 등 개선 노력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