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4월·5월·7월·8월 이어 6연속 기준금리 동결
국내 경기 침체 우려 및 중동 분쟁 불확실성 고려한 듯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로 동결했다.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 8월에 이은 여섯 번 연속 동결이다. 국내 경기 회복 흐름이 여전히 더딘 데다 미국발 시장금리 상승과 중동 분쟁 등으로 기준금리 인상 여력이 떨어지면서 금리를 유지한 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유지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2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2021년 8월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시작된 지 1년 6개월 만에 인상 행진이 멈춘 바 있다. 이어 4월과 5월, 7월, 8월에 이어 이번 10월 금통위에서도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여섯 차례 연속 금리 동결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동결 전망이 우세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5일부터 11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이달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10%는 0.25% 금리 인상을 예상했다.

금투협은 “장기 국채금리 상승으로 기준금리 인상의 필요성이 낮아진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10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국내 경기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점이 기준금리 동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올해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기존 전망치와 같은 1.4%로 유지했지만 내년 성장률은 2.2%로 0.1%포인트 하향했다. 반도체 경기 흐름이 둔화한 데다 주요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침체 여파가 이어지면서 국내에도 경기 침체 우려가 높은 탓이다.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 무력 충돌 등 중동 분쟁으로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점도 기준금리 동결 근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중동 분쟁 격화 이후 미 연준 위원들 사이에서도 통화 완화를 선호하는 발언이 이어진 바 있다.

다만 최대 2.0%포인트로 미국과의 금리 격차, 3%대로 다시 올라선 물가 상승률 등 금리 인상 압력이 남아 있는 탓에 지난 금통위와 마찬가지로 향후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매파적 동결’ 기조는 계속해서 유지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