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상생 부족 논란에··· '할리스 국감 후·투썸 국감 전' 상생 방안 마련
[시사저널e=이숙영 기자] 국정감사가 한창이다. 국감은 지난 10일 시작돼 오는 27일까지 진행된다. 국감 시즌이면 기업들은 바짝 긴장한다.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 기업이 공개적으로 비판받는 자리기 때문이다.
올해 국감에는 할리스, 투썸플레이스 등 커피 프랜차이즈가 소환됐다. 할리스커피를 운영하는 이종현 KG할리스F&B 대표는 지난 16일 정무위원회의 국감에 증인으로 참석했다.
국감에서는 할리스가 가맹점과 '상생'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할리스가 가맹점주가 구매해야만 하는 필수품목 수를 늘려 과도한 수익을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할리스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쿠폰의 수수료를 가맹점주가 100% 부담해 온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지적에 이 대표는 향후 상생에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필수품목 마진율은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가맹점주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연말까지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국감 후인 지난 19일 할리스는 상생 방안을 제시했다. 업계에 따르면 할리스는 오는 12월부터 모바일 쿠폰 수수료를 가맹점과 절반씩 분담키로 했다. 또 모바일 쿠폰의 정산 주기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가맹점주의 편의를 높일 예정이다.
할리스가 상생 방안을 마련한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국감에서 지적을 받으니 그제야 해결책을 제시한 할리스의 행보에 다소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국감 전에도 상생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기 때문이다.
커피 프랜차이즈 투썸플레이스는 할리스와 비슷한 상황에서 다른 선택을 했다. 문영주 투썸플레이스 대표는 올해 정무위 국감 증인 명단에 올랐었다. 가맹점 불공정행위 등이 문제가 됐다.
하지만 투썸은 국감을 앞두고 가맹점주와 상생협약 체결에 성공했다.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회의 정례화, 텀블러 할인비용 가맹본부 부담, 광고 및 판촉 행사 진행 시 투표 합리화 등의 내용을 골자로 상생협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정무위는 문 대표의 증인 출석을 철회했다.
물론 투썸의 상생협약이 완벽한 상생안은 아니다. 일각에서는 모바일쿠폰 수수료 조정 내용이 빠져 핵심이 빠졌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또 문 대표의 국감 증인 출석을 피하기 위한 반쪽짜리 상생안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다만 투썸이 국감 전 상생을 위한 개선 노력을 했다는 점은 할리스와 비교되는 대목이다.
가장 좋은 것은 국감에 소환될 필요도 없이 가맹점과 본사간의 상생이 숨쉬듯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것이다. 각자의 이익이 상충하는 부분이 있는 만큼 상생이 쉽지 않긴 하지만 그래도 서로 함께 잘되려는 노력을 게을리해선 안된다. 프랜차이즈의 핵심은 가맹점이다. 최근 물가가 오르며 모두 힘든 상황이다. 가맹점과 본사가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해 나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