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개 사업장 '폐기물 매립 제로' 최고 등급 획득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자원 순환을 위한 노력을 포함, 지속 가능한 친환경 미래 사회 구현에 적극 나설 것"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 사진=삼성SDI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 / 사진=삼성SDI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삼성SDI는 국내 전 사업장이 글로벌 안전과학 전문기업인 UL솔루션즈(UL Solutions)의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중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미 국내 사업장에서 폐기물 재활용 100%를 달성한 삼성SDI는 해외 사업장에서도 폐기물 재활용률을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 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글로벌 지표로 활용된다. 사업장별로 폐기물 재활용 비율에 따라 각각 플래티넘(100%), 골드(99~95%), 실버(94~90%) 등급이 부여된다.

삼성SDI의 천안, 울산, 구미, 수원 사업장이 올해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하면서 국내 모든 사업장이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 기흥과 청주사업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폐기물 재활용률 100%를 달성하며 2년 연속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삼성SDI는 국내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인 성일하이텍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공정 스크랩에서 코발트, 니켈, 리튬 등 핵심 소재를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5월에는 원자재 회수율 향상, 친환경 소재 회수 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한 '리사이클 연구 Lab'을 신설했다.

삼성SDI는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운영 중인 모든 해외 사업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삼성SDI는 내년까지 골드 등급을 인증받은 해외 사업장의 폐기물 재활용 비율을 높여 모든 글로벌 사업장이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한다는 방침이다.

삼성SDI 해외 사업장 가운데 중국 우시 사업장은 플래티넘 등급, 헝가리와 중국 톈진 사업장은 골드 등급을 인증받았다. 추가로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의 사업장까지 인증을 마치면 연내 국내외 모든 사업장이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획득하게 된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삼성SDI가 2030년 글로벌 톱 티어 회사가 되기 위한 친환경 경영의 일환"이라며, "자원 순환을 위한 노력을 포함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 미래 사회 구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