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현대 광주, 방직공장터 개발 공공기여 협상 진행 중
스타필드, 어등산 관광단지 사업 제3자공모···광주신세계 확장 절차
[시사저널e=이숙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주 '쇼핑몰'을 언급하며 윤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었던 광주 복합쇼핑몰 건립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더 현대 광주'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 '광주 신세계 아트 앤 컨처 파크' 등의 건립이 예고된 가운데 진행상황에 관심이 모인다.
17일 광주시에 따르면 더 현대 광주와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는 각각 사전협상과 공모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더 현대 광주는 개발과 관련해 시와 사업자 간 공공기여 협상이 진행 중이고,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는 제3자 공모로 민간 개발자를 모집 중이다.
더 현대 광주는 광주 북구 임동 전방·일신방직 공장터에 들어설 예정으로, 이와 관련해 시와 사업자 간 공공기여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 공업 지역인 부지를 상업·주거 지역 등으로 변경해 사업자 측이 얻게 될 이익 일부를 내놓는 공공기여금 규모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협상은 다소 지연된 상태다. 사업자 측에서 공공기여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감정평가액에 이견을 보였기 때문이다. 최근 사업자 측이 한발 물러서 감정평가액 수용 의사를 밝혔지만, 땅값 상승분의 40∼60% 범위인 공공기여 비율을 어느 정도로 정할지가 관건으로 남았다.
이 과정이 끝나면 도시계획·건축위원회 자문을 거쳐 지구단위 계획 수립, 의견 청취, 환경·교통·재해 영향 평가 등 행정절차로 넘어간다. 이후 토지 용도를 변경한 지구단위 계획이 고시되고 건축 인허가 등으로 이어진다.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내년 말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광주시는 예상했다.
그랜드 스타필드 광주는 어등산 인근에 건립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어등산 관광단지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업을 주관하는 광주도시공사는 현재 제3자 공모로 어등산 관광단지 민간 개발자를 모집 중이다. 제3자 공모는 투자 의향 기업과 협의한 뒤 다른 사업자에게도 참여 기회를 주는 방식이다.
제 3자 공모 지원한 업체는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사업 계획서 등 작성에 시일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면 공모 마감일인 10월 13일에 닥쳐 접수가 이뤄질 전망이다. 광주시는 올해 안으로 우선협상 대상자를 확정한 뒤 2025년 말 착공이 가능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복합쇼핑몰 건립 움직임과 함께 추진되는 광주신세계 확장 이전에 관해서는 지구단위 계획 구역 지정 절차를 밟고 있다. 광주신세계는 현 백화점 옆 이마트 부지와 옛 모델하우스 부지를 합쳐 광주 신세계 아트 앤 컨처 파크를 건립할 계획이다.
광주신세계는 도시관리 계획 입안을 신청했으며, 이에 대해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올해 3월 말 입안에 동의했다.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는 기존 백화점의 구체적인 활용방안 제시, 지하차도 기부채납, 인근 금호월드 포함 주변 민원 적극 해소 등 총 8개 조건을 내걸었다.
광주시는 도로·경관·교통 등 관계 부서, 자치구 협의를 거쳐 사측의 조치계획을 반영해 심의안을 만들 예정이다. 심의안이 완성되면 핵심 행정 절차인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심의를 받게 된다.
광주신세계가 확장 이전할 곳은 더 현대 광주가 들어설 곳과 인근에 위치한다. 이에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중 어느 쪽이 먼저 개점에 성공해 선점 효과를 얻을지 관심이 모인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신경이 쓰일 것이고, 먼저 오픈하고 싶은 심정도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행정에서 그것까지 고려한다면 특혜가 생기고 일이 꼬일 거라 본다. 자칫하면 행정 난맥상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행정 절차가 지연되면서 세 사업 중 일부는 무산 또는 축소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투자 비용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 업계에 따르면 이미 광주신세계는 사업 규모 축소 등 대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