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저널e 인공지능 국제포럼 종합토론
“AI기술 개발, 범용성 관념 벗어나야”
“내년 R&D 예산, 올해와 비슷한 수준”
“AI 연구개발, 투자이익률 초점 접근”

14일 시사저널e 주최로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제9회 인공지능 국제 포럼(AIF 2023)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 사진=김지윤, 김현준 PD
14일 시사저널e 주최로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제9회 인공지능 국제 포럼(AIF 2023)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 사진=김지윤, 김현준 PD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을 개발할 때 범용성 보다는 단일목적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데이터PM은 14일 시사저널e 주최로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열린 ‘제9회 인공지능 국제 포럼(AIF 2023) 종합토론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PM은 “정보통신(IT)을 하는 사람은 하나를 만들어 여러곳에 쓸 수 있는 범용성을 많이 생각한다. 그런데 만든 사람과 쓰는 사람의 입장이 다르다”며 “지금까지는 만드는 쪽에서 주도했는데 이젠 범용 AI보다 단일목적의 AI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AI관련 정부 정책 마련을 위해 AI와 관련없는 사람을 만나 의견을 청취한다는 이 PM은 “경쟁력을 가져갈 수 있고, 어느정도 성공하게 되면 범용화까지 이뤄내야 한다”며 “단순히 기술개발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반드시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AI 부분은) 글로벌 패권 경쟁 측면에서 보고 그런쪽에서 정책을 마련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논란이 된 정부의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관련해선 AI 분야는 올해 예산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PM은 “예산 어려움이 있어 R&D 예산을 일부 줄인건 사실이지만, 좀 더 잘해야 한단 의미에서 추가한 것도 있다”며 “인공지능 예산은 지난해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어 “목적성이 명확하지 않고 선심성인 부분은 줄었지만 차세대 과제는 거의 손을 안댔고, 국제협력 관련 분야는 오히려 예산이 늘었다”고 덧붙였다.  

종합토론은 자율주행 분야 AI 기술 접목 부분도 다뤄졌다. 좌장인 최대우 한국외대 통계학과 교수가 “AI를 로보틱스 분야에 적용하는게 굉장히 어렵다. 특히 현실적용이 어려운 쪽이 자율주행”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최진 모빈 대표는 “자율주행은 AI 없이는 힘들다. 너무 정형적인 것으로 접근하면 AI가 필요없지만 일상생활이 정형적이진 않다”며 “킥보드도 아무데나 두고, 아이들도 움직이는데 이런것들은 간단히 정형적으로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 대표는 “자율주행에 있어 AI가 정답이지만 어떤 경우엔 정답이 아닐 수 있단 관점도 갖고 있다”고 했다. 

AI 분야 사업을 하려면 대규모 자금 투입이 불가피하다. 특히 업계는 연구성과를 내기 위해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가기에 효율적 연구예산 집행이 필요하단 지적이다.  

권순일 업스테이지 사업총괄 부사장은 “사업을 하면서 가장 큰 튼 장벽은 투자이익률(ROI)이다. 그걸 풀기위해 고객과 문제정의에 많은 시간을 보낸다”며 “현실에 쓰일수 있는 기술에 집중한다. ROI 나온다고 확인된 영역에 좀 더 집중하고, 고객이 하고 싶다고 해도 ROI가 안나온다고 하면 냉정하게 얘기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