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순자산총액 증가율 경쟁사 대비 부진
올해 신규 ETF 흥행도 상대적으로 저조해
2차전지 인버스 ETF, 화제 속 대표 상품될지 주목

[시사저널e=송준영 기자] KB자산운용이 올 들어 더딘 ETF(상장지수펀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신규 상품의 흥행 사례도 좀처럼 나오지 않고 있다. 올해 다수 ETF를 상장시켰지만 경쟁사 대비 이렇다 할 투자자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2차전지 인버스 ETF가 출시 이전부터 시장 화제를 모으고 있어 ‘시장 점유율 3위’ KB자산운용의 자존심을 세워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2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전날 기준 KB자산운용이 운용하는 108개 ETF의 순자산총액은 8조4638억원으로 집계된다. 이는 지난해 말 6조9653억원 대비 21.51% 증가한 수치다. ETF 시장의 급격한 확대에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경쟁사와 비교하면 성장폭은 뒤처지고 있는 상황으로 평가된다.

실제 ETF 시장 점유율 1위인 삼성자산운용은 올 들어 순자산총액이 31.68% 증가했다. KB자산운용이 쫓고 있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같은 기간 33.97%가량의 순자산총액이 늘었다. KB자산운용을 추격하는 자산운용사들의 약진도 두드러지는데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순자산총액은 지난해 말 3조527억원에서 5조1484억원으로 68.65% 급증했고, 한화자산운용은 1조4472억원에서 2조7670억원으로 90% 넘게 성장했다.  

문제는 올해 출시한 ETF의 투자자 반응도 뜨뜻미지근한 모습이라는 점이다. KB자산운용은 올 들어 전날까지 9개의 ETF를 새롭게 출시했다. 국내 최초 국채 30년 레버리지 ETF 상품인 ‘KBSTAR 국채30년레버리지KAP(합성)’을 비롯한 채권 관련 ETF가 3개였고 나머지 6개는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ETF였다. 

이들 중 미국 무위험 지표금리인 SOFR에 환노출 전략으로 투자하는 ‘KBSTAR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ETF는 지난 5월 16일 출시한 이후 거래량이 가장 저조했다. 출시 이후 누적 거래량은 4만8349주였고 일평균 거래량은 590주에 그쳤다. 출시 후 개인 투자자 누적 순매수 금액은 2억원에 불과했다. 

KB자산운용이 야심차게 내놨던 해외 자산배분 및 주식분산 ETF도 활발히 거래되진 않았다. ‘KBSTAR 글로벌자산배분액티브’와 ‘KBSTAR 글로벌주식분산액티브’는 지난 6월 27일 출시 이후 일평균 거래량이 각각 2746주, 1만3133주였고 개인 투자자 누적 순매수는 1억3000만원과 1억4000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경쟁사가 신규 ETF를 통해 투자자 관심을 끈 것과는 대조되는 양상이다. 대표적으로 지난 4월 25일 출시한 신한자산운용의 ‘2차전지 소부장’ ETF의 경우 일평균 거래량이 193만주였고 개인 투자자 누적 순매수 금액만 1446억원에 달했다. 투자자 수요를 적극 반영한 ETF 출시를 통해 존재감을 드러낸 사례였다.

그나마 ‘KBSTAR 머니마켓액티브’와 ‘KBSTAR 미국S&P배당킹’이 투자자 반응이 컸던 신규 ETF였다. KBSTAR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개인 투자자도 ETF를 통해 법인형 머니마켓펀드(MMF)에 가입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고안된 상품이다. 이 ETF에는 단기자금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187억원의 개인 순매수가 있었다. 미국 배당킹 기업에 투자하는 KBSTAR 미국S&P배당킹 ETF는 배당 투자자 수요에 10만3707주의 일평균 거래량을 기록했고 31억원의 개인 순매수가 이뤄졌다. 

다만 KB자산운용에서도 이른바 ‘메가히트’ 기대감은 나오고 있다. KB자산운용은 이날 국내 첫 2차전지 인버스 ETF인 ‘KBSTAR 2차전지TOP10인버스(합성)’를 상장시켰는데, 이 ETF는 출시 이전부터 큰 화제가 된 바 있다. ‘공매도를 자극할 것’이라는 일부 개인 투자자들의 우려를 비롯해 ‘2차전지 인버스 투자 수요를 잘 반영했다’는 등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던 것이다. 실제 이날 이 ETF는 330만주가 넘는 거래량과 250억원의 개인 순매수를 기록하며 흥행 조짐을 보였다. 

출시 후 9월 11일까지 기준. 자료=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취합. / 표=김은실 디자이너.
출시 후 9월 11일까지 기준. 거래량 단위는 주. 자료=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취합. / 표=김은실 디자이너.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