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일 CTO “AI엔진·플러그인 공유해 생태계 조성”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 AI언어모델 결합 모빌리티 서비스 소개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내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인공지능(AI) 엔진’을 구축하겠단 계획을 밝혔다. 회사는 새로운 AI 엔진을 활용해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사업 강화 및 물류·배송 AI 플러그인 구현에 나설 계획이다. 경로배정·운송관리시스템(TMS) 등 모빌리티 엔진부터 자율주행·로봇·디지털트윈 등을 이미 보유하고 있는 모빌리티 AI 플랫폼과 결합한다.
8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넥스트 모빌리티: NEMO 2023’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우리의 세상을 이해하는 AI’란 기술 목표를 제시했다.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2015년 카카오T 앱 출시 이후, 이동 서비스의 디지털전환을 통해 정보 비대칭으로 분절됐던 모빌리티 시장을 혁신 산업으로 진화시켜 왔다”며 “그간 이뤄 온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AI 기반 기술 고도화에 이어, AI 대전환시대를 맞아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시대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최근 생성형 AI 기술을 필두로 기존의 규칙과 패턴 기반의 정보 처리 능력을 넘어서 간단한 추론과 창작까지 가능한 수준의 AI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라우팅, TMS, 프라이싱진, 배차 엔진 등 AI 기술을 기반으로 각기 장점이 다른 기술들의 결합을 통해 모빌리티 특화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같은 AI 엔진과 플러그인을 협력사에 제공해 모빌리티 AI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단 포부도 밝혔다. 생성형 AI 엔진을 기반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회사는 지난 3월 인수한 글로벌 모빌리티 중개 플랫폼 ‘스플리트’ 중심으로 해외 차량 호출 서비스를 확장했으며, 국내에 입국하는 해외 여행객용 인바운드 서비스 기술 개발을 마치고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유 CTO는 “스플리트와 배송 API 플랫폼을 확장해 다양한 AI 플러그인과 스킬을 준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채팅형, 비서형 AI에 이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모빌리티 AI 플러그인, 물류배송 AI 플러그인 등도 준비할 계획”이라며 “새로워진 AI 엔진과 플러그인은 다양한 파트너들에게도 제공함으로써 모빌리티 AI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스플리트를 인수해 전 세계 다양한 이동 수요를 통합하고 고도화 작업을 지속 중이다. 실제 카카오T 이용자들이 해외에서도 별도 가입과정 없이 해당 국가의 기사들을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는 이미 전세계 30여개국에서 출시됐다. 스플리트와 연동된 수요시스템을 통해 해외여행객의 국내 방문 시에도 카카오T 없이 카카오T 택시를 호출할 수 있는 인바운드 중개 서비스 기술 개발을 완료해 정기 서비스 오픈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카카오브레인 김일두 대표는 ‘모빌리티와 생성형 AI의 만남’을 주제로 기조발제에 나서 카카오의 차세대 언어모델에 모빌리티 서비스가 결합해 출현할 수 있는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제시했다.
‘퍼스널 컨시어지’는 개인화와 전문성을 기반으로 주어진 일정과 조건에 따라 맞춤형 추천 여행 경로를 생성해주는 서비스다. “제주도에서 2박3일 일정으로 3개월, 1살 아이를 동반한 가족여행 코스를 알려줘”라고 요청하면 날씨에 따른 유의사항에서 숙박지 추천, 가족사진 찍기 좋은 장소에 이르는 상세한 여행 정보가 생성된다.
김 대표는 카카오T에 카카오브레인의 언어모델을 접목해 구현할 수 있는 끊김 없는 이동 시나리오도 제시했다. 대화방에서 대화를 나누면서 자연스럽게 대화의 맥락에 맞는 최적화된 모임장소를 추천받고, 식당 예약에서 식당까지 가는 추천 이동경로 확인, 택시 호출까지 완료하는 방식이다.
김 대표는 ”기존의 룰베이스 알고리즘을 넘어선 언어모델이 다양한 상황적 맥락을 이해하고 여기에 맞춰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시나리오“라며 ”향후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의 기술 발전에 따른 보다 다변화되고 복잡한 이동 시나리오에도 맞춤형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