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성장과 고객 수 증가로 이자순익 큰 폭 개선
충당금 따라 수익성 희비 엇갈려···연체율과 부실 채권 증가세
인뱅 설립 취지 따라 중·저신용자 대출 불가피···포트폴리오 안정화 필요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및 담보대출 비중 확대해 안정적인 포트폴리오 마련해야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 올해 상반기 실적이 공시됐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성장과 고객 수 증가로 모두 이자순익은 큰 폭으로 개선됐지만 충당금에 따라 수익성 희비가 엇갈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연체율과 부실 채권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취지에 따라 중·저신용자 대출을 늘려야 한다는 과제를 놓고 지속적인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올해 거둬들인 순이익은 250억원, 183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6.0%, 48.0% 증가했다. 토스뱅크의 경우 상반기 순손실이 384억원으로 전년 동기 1243억원 순손실보다 적자 규모가 대폭 줄었다.

인터넷전문은행 3사 모두 상반기 영업실적은 준수했다. 올해 상반기 3사의 순이자손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5% 증가한 97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핵심 비즈니스인 이자사업은 성공적이었다는 의미다. 

특히 토스뱅크의 약진이 두드러졌는데 토스뱅크의 상반기 순이자손익은 전년 대비 10배 가까이 늘었다. 기존 신용대출 외에도 지난해 하반기부터 사장님 대출 등 기업대출로 여신 포트폴리오를 확대한 효과로 풀이된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도 올해 상반기 은행권에서 가장 낮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제시하는 등 경쟁력을 갖추면서 순이자손익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은행별 실적 희비가 엇갈린 것은 '충당금'이었다. 충당금이란 대출 부실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은행이 미리 비용으로 처리한 금액이다. 충당금 적립액 규모가 커지면 회계상 이익은 줄어든다. 앞서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크게 줄어든 케이뱅크는 충당금 적립액이 전년(494억원) 동기 대비 144% 증가한 1205억원에 달했다. 카카오뱅크는 상반기 충당금 적립액이 전년 동기 대비 38.1% 증가한 1117억원이었지만 케이뱅크보다 충당금 적립 규모가 작았다. 

토스뱅크도 건전성 개선을 위해 충당금을 많이 쌓았다. 지난 6월 말 토스뱅크의 충당금 적립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4배 증가한 1530억원으로 케이뱅크(1205억원)보다 325억원 더 많았다.

관건은 연체율 상승이다. 케이뱅크의 2분기 연체율은 0.86%로 지난해 같은 기간(0.52%) 대비 0.34%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카카오뱅크도 0.33%에서 0.52%로 올랐다. 토스뱅크 또한 1.56%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1%포인트 증가했다.

연체가 3개월이 넘은 부실채권의 비율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늘어났다. 케이뱅크의 지난 6월 말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98%로 지난해 같은 달(0.60%) 대비 0.38%포인트 올랐다. 카카오뱅크도 0.42%로 0.15%포인트 상승했다 토스뱅크의 경우 1.26%로 1.13%포인트 크게 상승하며 유일하게 1%를 넘겼다.

문제는 이같은 건전성 지표 악화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전문은행은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공급이라는 설립 취지에 맞게 대출을 늘려야 한다는 점이다. 연말까지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까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대출 비중은 카카오뱅크 27.7%, 케이뱅크 24%, 토스뱅크 38.5%로 아직 목표치에는 못 미치는 상황이다.

중·저신용자 대출을 일정 수준 이상 확대해야 하는 데다 수신상품 라인업도 시중은행에 비해 다양하지 않고 수신 여건도 비교적 여유롭지 않아 인터넷전문은행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리스크 관리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책적 목적인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면 부실 지표 악화로 이어질 수 있어 담보대출 확대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안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충당금 적립과는 별개로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및 담보대출 비중을 늘려 안정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가져가야 향후 중·저신용자 대출에 따른 부실 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늘어나면 연체율은 올라가고 충당금은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리스크가 적은 담보 대출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건전성 및 비용 관련 지표들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