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판 구조 설계 아파트 91개 단지 중 15개 단지서 보강 철근 누락
수돗물 이물질 발생 사고 이어 안전 우려 확산···후속 대응 방안 논의
원희룡 "국민 신뢰받아야 하는데···부끄럽다" 사과···책임자에 대한 인사 및 고발 조치 예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지역본부에서 열린 공공주택 긴급안전점검 회의에서 경기 시흥시 은계지구 내 아파트 단지에 공급되는 상수도관 이물질 발생 현상, 남양주 공공분양 아파트 보강철근 누락 등의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최근 인천 검단 주차장 등 철근 누락 공사 현장이 적발된 가운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무량판 구조 설계 아파트 91개 단지 중 15개 단지에서 전단보강철근(보강 철근)이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LH 조성 공공택지지구 수돗물에서 오염 물질이 나왔다는 민원이 제기되는 등 안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이한준 LH 사장은 사과하며 후속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원 장관은 30일 서울지역본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LH 무량판 자체조사 결과 및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에서 "LH 시흥은계 공공주택지구에서는 수돗물에 이물질이 나왔고 경기 남양주 공공주택에서는 무량판으로 설계·시공된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철근이 누락되는 등 결함이 발견됐다"며 "국민의 신뢰를 받아야 할 LH라는 공기업이 지은 아파트에서 이런 일이 발생한 점이 정말 부끄럽다"고 밝혔다.

이어 "LH에 대한 감독 부처로 공공주택에 대한 사업 책임을 지고 있는 국토부의 장관으로 무거운 책임을 짊어지고 원칙대로 처리하고 국민의 의혹이 한치도 없도록 철저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무량판 구조는 천장을 지지해 주는 테두리 보나 벽이 없이 기둥이 슬라브를 직접 지지하는 구조다. 이 때문에 기둥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뼈대' 역할을 하는 보강 철근을 충분히 들어가야 한다. 앞서 지난 4월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 당시에도 보강 철근 누락이 직접적인 붕괴 원인으로 지목된 바 있다.

이에 LH는 무량판공법이 적용된 LH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대해 전수 검사를 실시했다. 설계도면 및 구조계산서를 분석한 후 슬래브 전단보강근 철근을 비파괴 검사했으며 지하주차장 콘크리트를 점검함으로써 강도를 측정했다.

91개 단지 중 시공 내용을 샘플 조사한 뒤 미흡사항이 발견된 지구는 전수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남양주 공공분양 주택을 포함해 15개 단지에서 보강 철근이 누락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입주가 이미 진행된 단지는 5개 단지로 4개 단지는 입주자와 협의 또는 정밀안전진단을 추진하고 있고 추후 보완공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나머지 1개 단지는 현재 보완공사가 진행 중이다.

나머지 10개 단지는 현재 입주가 진행되지 않아 입주 전 보완 공사를 끝낼 계획이다. 6개 단지는 보완공사를 진행 중이고 나머지 4개 단지는 입주 전 보완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 사장은 "15개 단지 모두를 조사해서 한치 의혹 없이 모두를 책임 지게 하겠다"며 "단지별로 개별적으로 책임 물어야 하는 사항이 있어서 현재 저희 경우에는 설계 감리 시공 업체 리스트 모두 확보한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민간 발주 아파트 100곳에 대한 안전 점검도 진행할 예정이라 철근 누락 아파트는 추가로 더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