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계약시 레드백 장갑차 129대 호주 군에 순차 배치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 기술 경쟁력 입증···우주 사업 투자 박차
[시사저널e=유호승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5년간 공을 들인 호주 정부의 장갑차 도입 사업을 따냈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수주잔고가 3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회사 측은 지상에서 거둔 수익을 우주 신사업에 투자해 지속성장을 위한 발판 마련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3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따르면, 최근 호주 군의 현대화 사업인 ‘랜드(LAND) 400 3단계 사업’의 보병전투차량 최종 후보 2개 중 레드백이 우선협상대상 기종에 선정됐다. 레드백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수출용으로 기획·개발한 장갑차다.
당초 이 프로젝트에는 미국 제너럴다이내믹스의 ‘에이젝스’와 영국 BAE시스템스 ‘CV90’, 독일 라인메탈 ‘링스’가 레드백이 입찰에 참여했다.
이후 2019년 9월 레드백과 링스 2개 기종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방산 강국인 독일과 5년이라는 경쟁을 거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우선협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호주 군은 1960년대에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하기 위해 해당 사업을 시작했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호주 군은 오는 2027년 하반기부터 한화 레드백 129대를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사업규모는 6조원 수준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올해 1분기 기준 수주잔고는 19조927억원인데, 호주 레드백 프로젝트와 2분기 폴란드 등에서 따낸 일감 등을 합하면 3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폴란드에 수출될 K9 자주포와 천무 다연장로켓은 조만간 생산을 시작해 올해 4분기부터 매출에 인식될 예정”이라며 “호주뿐만 아니라, 유럽과 중동 등에서도 추가 계약을 위한 협상이 진행 중이어서 일감 및 수출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상에서 발생한 수익은 우주 신사업에 투자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를 통해 기술 및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사업 초기단계여서 아직 큰 수익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올해 2분기 항공우주 부문의 영업이익은 55억원이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누리호 3차 발사의 성공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항공우주기업으로 자리잡았다”며 “앞으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실용 위성 개발에 집중해 우주에서도 돈을 버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