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카드사,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 1조3372억원
롯데카드, 증가폭 가장 커···1년 새 6.4배 ‘급증’
“대환대출, 다시 연체될 가능성 높아···증가세 경계해야”

7개 전업 카드사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 추이/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7개 전업 카드사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 추이/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카드론 연체자들 대상으로 하는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이 올해 들어 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에 대출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롯데카드의 경우 대환대출 규모가 1년 새 6배 이상 급증하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27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지난 6월 말 기준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은 1조33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032억원) 대비 48.0% 증가한 규모다.

대환대출 잔액의 증가세는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지난 3월과 4월까지만 해도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각각 4.3%, 8.3%로 한 자릿수에 그쳤지만 5월부터 증가율이 확대되면서 37.9%로 뛰었다. 이후 6월에는 증가율이 50%에 육박한 상태다.

카드론 대환대출은 카드론 연체자를 대상으로 상환할 자금을 다시 빌려주는 상품이다. 대환으로 만기를 조정해 단기적으로 연체 부담을 덜 수 있지만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기존 대출보다 금리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롯데카드의 증가율이 크게 두드러졌다. 지난해 6월 말 당시 140억원이었던 롯데카드의 대환대출 잔액은 1년 새 6.4배 급증하며 올해 6월 말 기준 88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4월까지만 해도 롯데카드는 카드사 중 대환대출 잔액이 가장 적은 수준이었으나 카드사 중 대환대출 잔액이 가장 적은 수준이었으나 잔액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5월부터 증가세가 가팔라지면서 6월에는 삼성카드(880억원)와 하나카드(735억원)보다 금액이 많아졌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프리워크아웃 등 신용구제가 포함된 수치이며 전년에 타사 대비 취급이 워낙 적어서 증감률이 높게 나타났다”며 “절대액 자체가 작다 보니 기저효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규모 면에서는 신한카드가 1년 새 22.8% 증가한 3380억원을 기록하며 카드사 중 대환대출 잔액이 가장 많았다. 국민카드(3354억원), 현대카드(2100억원) 등도 전년 동기 대비 잔액이 각각 45.3%, 65.5% 늘었으며, 우리카드는 지난 6월 대비 81.2% 증가한 1724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카드의 대환대출 잔액은 880억원으로 지난해 6월 대비 13.4% 증가하는 등 비교적 증가폭이 적었으며, 하나카드는 지난해 6월 592억원에서 올해 6월 735억원으로 24.2% 증가했다.

이처럼 카드사들의 대환대출 증가세가 점점 확대되는 배경에는 최근 카드론 평균 금리가 다시 14%대에 진입하는 등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6월 말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의 카드론 평균금리는 14.22%로 전월(14.12%)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카드론 금리는 3월까지 하락세였으나 5월 들어 여전채 금리가 다시 오르기 시작하면서 카드론 금리도 5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카드론 대환대출이 연체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부실 위험이 높다는 점이다. 카드사들은 최근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건전성 지표 관리 차원에서 대출 부실을 유예할 수 있는 대환대출 취급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대환대출로 연체가 실질적으로 해소되는 것은 아닌 데다 대환대출의 금리가 기존 카드론 금리보다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은 탓에 오히려 부실 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최근 카드론 금리가 상승세를 나타내는 등 차주들의 이자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상환 능력이 떨어진 차주들이 대환대출로 연체를 미루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며 “카드사 입장에서도 최근 연체율, 고정이하여신비율 등이 상승하면서 건전성 지표가 나빠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 대환대출로 대출 기한을 늘리는 방법을 영업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대환대출이 당장에는 건전성 지표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연체를 미루기 위해 대환으로 처리된 대출은 추후에도 다시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결국 부실이 현실화하는 시점이 올 텐데 그렇게 되면 한꺼번에 부실 규모가 늘어나면서 건전성 지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대환대출 증가세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