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영업이익 6638억원 기록···매출 15조6849억원으로 역대 최대
완성차 물량 및 전동화 부품 판매 늘어···A/S 수요 증가로 영업이익 개선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 2분기 영업이익 4조원을 돌파하며 최대 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현대모비스도 올 2분기 실적이 대폭 개선됐다.
27일 현대모비스는 지난 2분기 매출액 15조6849억원, 영업이익 6638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각각 27.4%, 64.6% 증가한 수치다.
특히 매출액의 경우 단일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현대모비스는 완성차 생산량 및 전동화 물량 증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비중 확대에 따른 핵심 부품 공급 증가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완성차 물량 증가와 A/S 사업의 글로벌 수요 강세, 물류 운임 하락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문별로는 모듈과 핵심부품 매출이 전년대비 31.6% 증가한 12조9878억원을 달성했다. 이 중 전동화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3조7436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A/S 부문은 북미와 인도, 기타 지역의 수요 확대에 따라 전년대비 10.6% 증가한 2조6971억원을 달성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비용 상승분의 판매가격 반영 등 손익개선 활동과 함께 연구개발 투자, 시설 확충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 연구개발 인력은 지난 2분기 처음으로 7000명을 돌파했다. 지난 2020년 5000명을 넘어선데 이어 3년만에 50% 가까이 개발 인력이 늘어난 셈이다. 회사는 전동화와 반도체,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분야를 중심으로 인력 충원에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고객사 대상 수주도 순항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상반기까지 현대차와 기아를 제외한 글로벌 완성차로부터 총 27억1000만불(한화 약 3조5000억원) 규모의 핵심 부품을 수주했다. 이는 올해 목표 수주액인 53억6000만불의 절반 수준이다. 특히 지난 2분기에는 자율주행 센서와 인포테인먼트 신제품 등 고부가가치 부품을 신규 수주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전동화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거점 확대 계획도 공개했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국내와 해외에서 총 9개의 전동화 생산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북미(조지아/앨라바마)와 인도네시아에 신규 거점 6개도 구축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시스템과 전기차 구동부품인 PE모듈 공급 확대를 위해 유럽과 인도 등에도 거점 구축을 논의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