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금융 규모와 시기 두고 저울질 예상
실적 3위 자리 및 전체 회원수 놓고 현대카드에 추월 허용
이미 발표한 타 카드사 지원책과 차별화해야 하는 부담감도
내부 검토 길어질 수 있겠지만 결국 상생금융 행보 동참 전망

사진=연합뉴스
KB국민카드 전경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주요 카드사들이 상생금융 방안을 잇따라 내놓는 가운데 KB국민카드, 삼성카드 등 지원책을 제시하지 않은 카드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삼성카드의 경우 삼성페이에 대해 유료화 전환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상생금융 방안과 별개로 부응하는 움직임을 보였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KB국민카드는 아직까지 어떠한 지원책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상생금융 규모와 그 시기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현대카드와 실적 3위 자리를 놓고 경쟁하고 있다는 점, 전체 회원수는 현대카드에 추월당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속내가 복잡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시간이 갈수록 타 카드사가 이미 발표한 지원책과 차별화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더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카드사들이 상생금융안을 발표한 가운데 아직 발표하지 않은 KB국민카드와 삼성카드에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카드사 방문으로 시작된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요구는 카드사들의 동참으로 이어지고 있다. 앞서 우리카드는 이 원장 방문에 맞춰 22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책을 마련했다. 이어 현대카드도 지난 7일 6000억원 규모의 지원책을 발표했다. 롯데카드 역시 지난 14일 31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안을 마련했다.

신한카드는 금융 취약계층의 유동성 지원과 채무부담 완화 목적으로 총 4000억원 규모의 상생 보따리를 풀었다. 금융 취약계층 대상 2500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취약 차주 대상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1500억원을 투입한다. 

최근에는 하나카드가 소상공인 및 취약 차주를 지원하기 위해 총 3000억원 규모의 상생금융 지원을 시행하기로 했다. 현재까지 카드사들이 내놓은 상생금융 지원액만 총 1조8300억원에 육박한다.

삼성카드는 아직 상생금융 지원책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삼성전자와 협력해 만든 삼성페이 수수료 무료 정책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카드사들과 지속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선택했다는 평가다. 직접적인 상생금융 방안은 아니지만 간접적으로나마 흐름에 부응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지난 3월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애플페이가 현대카드로부터 결제 건당 0.15%의 수수료를 부과하면서 삼성페이도 유료화를 검토해왔다.

업계의 이목은 KB국민카드에 쏠리고 있다. 카드사 중 가장 먼저 상생금융안을 내놓은 우리카드의 2200억원을 시작으로 현대카드가 6000억원 지원을 약속한 데다 롯데카드까지 3100억원을 마련하는 등 일종의 기준점을 제시한 만큼 최소한 그보다 적어도 안된다는 내부적인 고민이 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무엇보다 검토가 길어질 수는 있겠지만 동참을 안 할 수 없는 분위기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적절한 발표 시기를 조율하고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문제는 KB국민카드의 내부 상황이다. 현재 KB국민카드는 신용카드 실적에서 현대카드에 추월당한 데 이어 전체 이용 회원 수에서조차 역전을 허용한 상황이다. 8개 여신금융사(신한·삼성·KB국민·현대·우리·하나·롯데·BC카드) 신용카드 실적을 살펴보면 현대카드는 3위 자리를 굳혀가는 분위기다. 현대카드는 3월 개인 신용카드 매출로 9조6224억원을 거둬들여 3위 자리를 기록했다. 이후 4월(9조5273억원), 5월(10조1582억원)에는 매출 폭이 점차 커지면서 개인 신용카드 부문 3위에 안착하는 반면 KB국민카드는 3월 8조6866억원, 4월 8조4966억원, 5월 8조7385억원 매출 규모에 그치면서 차이는 점점 커지고 있다.

전체 이용 고객 수도 현대카드는 KB국민카드를 넘어섰다. 여신금융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현대카드의 누적 전체 회원수는 1173만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KB국민카드는 1172만명에 그치면서 역전을 허용했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등 카드업계에 복합적인 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흔들리는 카드사의 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전략과 함께 상생금융 방안까지 제시해야 한다는 점에서 속내가 복잡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다른 카드사들이 발표한 지원책과 차별화해야 하는 점도 부담감을 더하는 요인이다"면서도 "결국 상생금융 행보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