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iX3 등 전기차 CCU 결함에 대해 리콜 준비 중
현대차그룹, 비슷한 ICCU 결함 관련 무상수리로 대처
국토부 관계자 “무상수리는 1차적으로 제조사가 결정”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통합충전제어장치(ICCU·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 문제에 대해 무상수리를 결정한 가운데, BMW에서 비슷한 문제와 관련해 리콜을 준비하고 있어 서로 다른 대응 방식이 비교된다. 일각에선 국내 완성차의 대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BMW 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통합충전장치(CCU·Combined Charging Unit) 결함 관련 리콜을 준비 중이다. BMW 코리아 관계자는 “현재 국토부와 논의 중에 있다”며 “구체적인 차종 및 차량 대수는 논의가 이뤄져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iX3 등에서 CCU 결함이 발생해 운행 중 동력을 상실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CCU는 배터리 충전과 전력 분배를 담당하는 장치다. 해당 장치는 iX3를 비롯해 i4, IX, i7 등 BMW의 주요 전기차종에 모두 들어가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미국에서도 관련해 리콜이 진행되고 있다.
리콜은 안전과 직결된 결함이라고 판단될 때 시행된다. 별도의 수리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고, 대상 차종이 모두 수리받을 때까지 진행된다. 제조사가 결함을 끝까지 책임지는 방식으로 무상수리와 차이가 있다.
무상수리는 제조사가 정한 기간 내 수리받지 않으면 소비자가 사비를 들여 수리를 진행해야 한다. 안전에 치명적인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 때 시행된다. 보통 소모성 부품이나 보조장치 등에 결함이 있을 때 무상수리가 이뤄진다.
BMW의 리콜조치와 관련해 현대차 및 기아 전기차 고객 사이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불거진다. 수입업체는 비슷한 문제에 리콜을 준비하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현대차그룹은 비슷한 ICCU 문제에 무상수리로 대처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행 중 차량이 멈춰 안전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현대차가 ICCU 장치에 10년/16만km의 보증기간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 소모성 부품이 아닌 핵심 부품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ICCU 결함과 관련해 아이오닉5, EV6 등 주요 전기차종 13만6000여대를 대상으로 무상수리를 결정했다. 우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시행하고 경고등이 점등된 차량에 대해선 부품을 교체한다는 것이다.
무상수리 결정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현재 결함 문제를 계속해서 조사하고 있다”며 “국토부와 논의해 결정됐다”고 말했다.
다만 국토부에선 1차적인 결정은 제조사가 한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안전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리콜을, 아닌 경우엔 무상수리를 결정하는데 1차적인 판단은 제조사가 한다”며 “무상수리를 진행하더라도 중간에 안전상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리콜로 바뀔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BMW가 현재 국내 판매 중인 모든 전기차종을 대상으로 리콜을 시행하더라도 대상 차종은 1만대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BMW는 올해 상반기 2989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 지난해엔 4888대, 재작년엔 366대의 전기차를 판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