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회 2023' 개최···117개 기업·기관 참가해 AI 전문가 모시기 나서
네이버·카카오, 논문 발표···국내 스타트업들도 기업소개 '전력'

/ 사진=CVPR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구글, 애플,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재 영입을 위해 각축전을 벌이는 세계최대 AI학회에 국내 기업들도 뛰어든다. LG,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를 비롯해 국내 AI 스타트업들도 학회에 부스를 차리고 ‘AI 전문가 모시기’에 나선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18~22일(현지시각)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리는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회(CVPR) 2023'에 117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해 AI 인재 채용에 나선다. CVPR은 컴퓨터비전 분야 세계 최대 규모 학회로, 매년 세계 주요 도시에서 학술대회를 연다. 

학회에 참여하는 AI전문가만 1만명이 넘는다. 본 학회 행사와 20일부터 22일까지 열리는 엑스포 기간 동안에 정보기술(IT) 기업들이 AI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인다.

구글, 애플, 아마존, 퀄컴, 메타(구 페이스북)등 세계적인 IT기업들이 채용 부스를 운영한다. 또 자율주행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인 테슬라, 토요타, 죽스(ZooX, 아마존 자율주행 스타트업) 등도 부스를 차려 전문가 영입전에 나선다. 

국내 기업 중 LG는 계열사 5곳(LG AI연구원, LG전자, LG이노텍, LG에너지솔루션, LG유플러스)이 나선다. 특히, LG AI연구원은 이번 학회에서 단독 연구 논문을 포함해 2편이 구두 발표(Oral Session)에 선정됐다. 구두 발표 기회는 학회에 제출된 논문 중 4% 이내에 해당하는 최상위 평가를 받은 연구에만 부여된다.

이와 함께 계열사들은 LG 통합 부스를 마련하고 각 사의 최신 AI 기술 시연과 채용 상담을 진행한다. 

현대차도 올해 홍보 부스를 처음으로 설치해 인재영입에 나선다. 작년엔 현대차의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이 참가했지만 올해는 현대차가 직접 참여한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은 물론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최근 삼성전자와 협력해 자동차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인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공급 받기로 하는 등 글로벌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에 한창이다. 

국내 스타트업 가운데선 AI 반도체 개발기업 퓨리오사AI가 국내 업체 중 최대 규모의 부스를 마련한다. AI 학습 데이터 플랫폼기업 셀렉트스타는 현지 법인명인 '다투모'로 참가하며, AI 푸드 스캐닝 기술을 개발 중인 누비랩도 기업 소개에 나선다.

국내 대표 IT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는 부스 설치는 하지 않고 논문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소개한다. 

이 밖에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는 모빌리티 업계 처음으로 대규모 AI 챌린지를 열고 관련 성과를 발표한다. 의료 AI 기업 루닛도 2편의 논문 발표를 통해 의료 분야에 쓰이는 비전 인식 AI 기술을 설명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