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무부, 공식 채널 통해 韓·中 장관급 인사 대화 내용 밝혀
중국 측 발표에 따르면 반도체 공급망 관련 긍정적인 대화 이어져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최근 미국과 중국 간 소리 없는 무역 갈등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으로의 첨단 반도체 수출이 제한될지 관심이 높아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과 중국의 장관급 인사가 반도체 공급망 문제를 두고 논의한 것으로 전해져 눈길을 끌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26일(현지 시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제(APEC) 회의에서 만나 반도체 공급망 문제를 논의했다. 중국 상무부는 위챗 공식 채널을 통해 해당 내용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측 발표에 따르면 안덕근 본부장은 “최근 몇 년간 한중 경제무역 관계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양국 간 긴밀한 협력 관계는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흐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양국 간 경제·무역 협력 관계를 더 심화시키고, 역내 및 다자 틀 아래 양국 간 협력 영역을 확장하길 원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왕원타오 상무부장은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중한 경제·무역 관계가 심화·발전했다"며 "중국의 수준 높은 대외 개방은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 "중국은 한국과 함께 양자 무역 및 투자 협력을 심화하는 것을 비롯해 산업망과 공급망 안정을 수호하고, 양자 및 지역에서의 협력과 다자 차원의 경제·무역 협력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은 중국을 대상으로 첨단 반도체 생산 장비 수출을 제한하며, 동맹국에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할 것을 유도하고 있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 주도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에서 특정국가 배제)에 한국이 동참하지 말 것을 요구한 의도로 해석된다.
중국은 그동안 한국, 미국, 일본 등에 대해 정치적으론 대립하되, 경제적으론 협력을 모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한미동맹이 강화되며 중국 정부의 반발이 거세졌지만, 경제적으론 협력관계를 유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한국에게도 중요성이 큰 시장이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중국 내 공장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국이 디커플링에 동참할 경우, 두 기업을 비롯해 이에 연관된 국내 기업들의 손실이 클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