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덕현 사장 “자동차용 풀 라인업 구축”

삼성전기가 개발한 전기차용 MLCC. /사진=삼성전기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삼성전기가 전기자동차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를 개발해 하이엔드급 전장용 시장 공략에 나선다. 전기차용 제품 개발로 자동차용 MLCC 풀 라인업을 갖췄다.

삼성전기는 250볼트(V급) 33나노패럿(nF)과 125도(℃)용 100V급 10마이크로패럿(µF) 용량 특성의 MLCC 구현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존 250V급 제품에서 22nF가 가장 높은 용량이었는데, 삼성전기는 동일 전압 수준에서 업계 최고 용량인 MLCC를 개발했다. 100V급·10µF MLCC는 기존 제품 대비 전기 용량을 2배 높였다.

신제품 2종은 전기차 핵심 장치인 전동화 시스템과 발광다이오드(LED) 헤드램프에 각각 적용된다. 전기차용 MLCC는 초고속 충전과 동력 전달, 반도체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고출력·고용량이 핵심 사양이다. 신제품은 뛰어난 내구성으로 배터리 안전성을 개선하고, 높은 소비전력이 필요한 LED 헤드램프에 많은 에너지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어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첨단운전자보조장치(ADAS)와 주행 정보와 오락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등 다른 응용처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신제품 2종은 자동차 전자 부품 신뢰성 시험 규격인 AEC-Q200을 충족했다.

삼성전기는 핵심 원자재인 유전체를 두껍게 설계하면 내부 전극 수가 줄어들어 용량을 높이기 어려운 MLCC 한계를 극복했다. 유전체 세라믹 파우더를 나노미터(nm) 단위 수준으로 미세화해 고용량을 구현했다. 또 표면 코팅 공법으로 파우더간 응집 현상을 최소화해 높은 전압에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케 했다.

삼성전기가 신제품 개발을 통해 자동차용 MLCC 시장 공략에 나선 건 이 부문의 성장성이 높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의 MLCC 탑재량은 1000개 수준이지만, 자동차에는 최소 3000개에서 최대 1만5000개가 필요하다. 글로벌 자동차용 MLCC 시장 규모는 올해 29억달러(약 3조8690억원)에서 오는 2026년 40억달러(5조3364억원)로 연간 40% 가까운 성장이 예상된다.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사장)는 “전기차용 제품까지 개발해 자동차용 MLCC 풀 라인업을 구축했다”며 ”삼성전기는 MLCC 핵심 원자재를 자체 개발·제조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설비 내재화와 생산력 강화로 MLCC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