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매출액 2조2804억원···전년比 23.6%↑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네이버는 지난 1분기 매출 2조2804억원, 영업이익 3305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6%, 영업이익은 9.5% 각각 상승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서치플랫폼 8518억원, 커머스 6059억원, 핀테크 3,182억원, 콘텐츠 4113억원, 클라우드 932억원 등을 기록했다.
서치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2% 증가한 8518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검색광고가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해 성장세를 이끌었다. 다만, 디스플레이 광고는 지난해 올림픽 및 대선에 따른 기저 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1% 줄었다.
커머스 매출은 지난 1월 인수한 북미 개인간거래(C2C) 플랫폼 포시마크의 편입효과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5.5% 증가한 6059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네이버 커머스의 전체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7% 성장한 11조6000억원이다. 포시마크는 마케팅 비용 최적화, 영업 비용 효율화 등의 노력으로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돼 기존 2024년 목표였던 상각전영업이익(에비타) 흑자 전환을 이번 분기에 조기 달성했다. 커머스 부문은 포시마크 편입효과를 제외해도 전년 동기 대비 13.2% 성장했다.
핀테크 매출은 31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했다. 1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9.2% 성장한 13조4000억원을 달성했다. 외부 결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5% 성장한 5조4000억원을 기록하며 핀테크 매출을 주도했다. 오프라인 결제액은 현장결제 가맹점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68.4% 증가한 8100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4% 성장한 4113억원을 기록했다. 웹툰의 글로벌 통합 거래액은 마케팅 축소와 특정 지역 운영 감축에도 불구하고 이북재팬 편입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9% 성장한 4122억원을 기록했다.
클라우드 및 기타 부문 매출은 9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성장했다. 이 중 기업간거래(B2B) 부문은 공공 부문 비수기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9.1%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6.6% 성장했다.
네이버는 이날 새로운 3개년(회계연도 2022~2024년) 주주환원계획에 대해서도 밝혔다. 네이버는 앞으로 3년간 최근 2개년 평균 연결 잉여현금흐름(FCF)의 15~30%를 전액 현금 배당한다. 또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 8% 중 3%를 향후 3년간 매년 1%씩 특별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최근 AI의 상용화 사례들이 급속도로 출시되는 등 패러다임이 획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 속, 네이버 역시 하이퍼클로바X를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해 사용자 경험을 한 차원 높이고자 한다”며 “일본에서 연내 라인웍스와 같은 생산성 도구에 하이퍼클로바X를 접목한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글로벌 B2B 기업용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