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아파트도 두 달 연속 60%대···빌라 전세계약 비중도 증가
전셋값 하락, 시중금리 인하에 전세 늘어···전문가, 전세 비중 상승에 우려
[시사저널e=이상구 기자] 최근 전세사기 피해에도 불구하고 서울과 경기지역 아파트 및 빌라 전세 비중이 다시 상승하고 있어 주목된다. 2년 전에 비해 전셋값 하락으로 재계약 비용 부담이 줄었고 전세자금 대출 이자가 지난해 하반기보다 낮아지면서 월세 전환이 주춤하고 전세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2만2640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전세 거래 비중은 61.5%(1만3934건)를 점유했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61.6%)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임대시장은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대출 이자가 연 6%대까지 치솟으면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했다. 이에 지난 2021년 30∼40%대를 오르내리던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지난해 12월 52.7%까지 상승했다. 반면 전세 거래 비중은 절반 이하(47.3%)로 떨어졌다.
전셋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난이 심화하며 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못하는 집주인이 늘고 지난해 11월에는 ‘빌라왕’ 전세사기가 발생하며 전세를 월세로 돌린 계약이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올 1월 다시 55.2%, 2월에 56.6%로 늘기 시작한 전세 비중은 3월 60%를 넘겼다.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적용하는 이율인 ‘전월세전환율’은 최근 금리 인상 여파로 서울 아파트 기준, 지난 2월 현재 연 4.6%(한국부동산원 통계)까지 올랐다. 3월 이후 시중은행의 전세자금 대출 금리는 연 4∼5%, 최저 3%대까지 떨어지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이 전문가 분석이다.
2년 전보다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재계약 또는 신규 계약 시 전세 보증금 부담이 감소한 것도 전세 계약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신고된 4월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62.3%로 3월보다 높다. 단, 4월 전월세 거래량은 아직 확정일자 미신고분이 많이 남아 있고 통상 월세보다 전세의 확정일자 신고가 빠른 경향도 있어 정확한 추이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또한 경기도 아파트도 전세 비중이 커졌다. 경기부동산포털에 올라온 전월세 거래량을 파악한 결과, 올 3월 경기도 아파트 전세 비중은 60.2%다. 지난 2월(60.3%)에 이어 두 달 연속 60%를 넘었다. 지난해 8월(55.6%) 50%대로 떨어진 전세 비중이 다시 60%를 웃돌기 시작한 것이다.
아파트는 물론 최근 역전세난과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는 다세대와 연립 등 빌라 전세 비중도 올 들어 증가 추세다. 서울 다세대와 연립의 전세 비중은 지난해 10월 61.9%에서 11월 빌라왕 전세사기 여파로 58.0%로 하락한 뒤 12월에는 49.7%까지 내려갔다. 하지만 올 1월 50.3%, 2월 52.9%로 상승한 후 3월에는 56.8%를 기록했다.
이날 현재까지 신고된 4월 전세 거래 전세 비중은 60.2%에 이른다. 경기도 연립과 다세대 전세 비중은 지난해 10월 57% 선에서 빌라왕 사건이 터진 11월 53.6%로 떨어진 뒤 올 3월까지 50% 선을 유지하고 있지만 4월 전세 비중이 현재 기준 57.2%로 높아진 상황이다.
이처럼 최근 전국적으로 역전세난이 심화하고 세입자의 전세사기 피해 우려가 커지면서 전세 비중이 높아지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