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센서스 하회···수요 부진·계절적 비수기 영향
“수주형 사업 확대로 하반기 흑자 전환 전망”

LG디스플레이 1분기 실적. /자료=LG디스플레이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4조4111억원, 영업손실 1조984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8% 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2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적자로 영업손실 폭도 전 분기(8757억원)보다 확대됐다.

LG디스플레이 실적은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에 미달하는 수치다. 증권업계는 1분기 매출을 약 5조500억원, 영업손실을 1조원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이를 밑돌았다.

TV와 스마트폰 등 IT 기기 수요 부진과 전방산업의 재고 조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계절적 비수기까지 겹쳐 제품 출하량과 매출이 줄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TV용 액정표시장치(LCD) 사업 축소에 나선 점도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1분기 매출에서 제품별 판매 비중은 모니터와 노트북 등 IT용 패널이 38%로 가장 높았고, 모바일용과 기타 제품이 32%, TV용 패널이 19%, 차량용 패널이 11%로 나타났다. TV용 패널 비중은 지난해 4분기 25%에서 6%포인트 감소했다.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 전경.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 전경.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수주형 사업 중심의 사업구조 개편을 추진해 경쟁력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수주형 사업은 고객사와 계약을 바탕으로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사는 40% 초반인 수주형 사업의 매출 비중을 향후 3년 이내에 70%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수주를 늘려 매출을 확대하고, 현재 투자가 진행 중인 중형 OLED는 내년 양산 체제에 돌입할 방침이다.

시장 변동성이 큰 수급형 사업은 고부가가치 분야에 주력한다. 대형 OLED는 라인업 확대와 원가 절감에 나서고, 투명과 게이밍 OLED 등 신시장 개척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전방 산업 실판매 부진으로 당분간 패널 수요가 세트 판매를 하회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수주형 사업 성과 확대로 하반기 중 흑자 전환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