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1단지 1·2·4주구, 다음 달 총회서 ‘35→49층’ 여부 결정
압구정 2~5구역, 신속통합기획 업고 49층 추진 나서
추가분담금 줄고 랜드마크 효과에 주민 요구 늘어
“공사비 수백만원 더 비싸 ···갈등 불씨 될 수도”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서울 한강변 단지들의 스카이라인이 대폭 높아질 전망이다. 올해 들어 층수 제한 완화에 맞춰 재건축 추진 단지가 일제히 층수 상향에 나서고 있어서다. 층수를 높이면 조합원 추가분담금이 줄어들고 ‘랜드마크’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초고층으로 지을 경우 공사비 증가 등 변수도 많다는 우려도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조합은 기존 35층으로 명시된 정비계획안을 49층으로 변경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다음 달 중순 총회를 열어 ‘49층 설계 변경안’을 상정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조합이 설계 변경에 나선 건 서울시가 한강변 단지에 대해 49층 이상 고층 재건축 사업을 허용하면서다. 앞서 지난 1월 서울시는 35층 높이 규제 전면 폐지를 담은 ‘2040 서울도시계획’을 확정·공고했다.
인근 신반포4차 재건축 조합도 기존 35층에서 49층으로 변경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곳은 당초 35층으로 재건축을 추진했지만 인근 단지들이 일제히 층수 상향에 나서면서 조합 내 계획 변경 목소리가 커진 상황이다. 이 밖에도 신반포2차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50층 재건축안을 확정했다. 공공재건축 방식으로 진행되는 신반포7차도 49층 건립을 추진 중이다.
반포주공1단지 인근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서울시의 규제 완화로 인해 주민들 사이에선 설계 변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이들 단지에서 층수 상향이 이뤄진다면 반포권 한강변 주요 재건축 단지는 모두 49층 아파트가 된다”고 말했다.
강남구 압구정동도 초고층 재건축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서울시는 오는 25일부터 압구정지구 2~5구역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안을 주민들에게 설명할 예정이다. 이번 기획안엔 초고층으로 재건축할 수 있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와 압구정 2~5구역 주민들은 그동안 기존 층수를 35층에서 49층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해 왔다.
조합들이 잇따라 초고층 재건축에 나선 건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한강변 단지들의 재건축이 완료되면 기존보다 가구 수가 20~30%가량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일반분양 가구 수가 늘어나는 만큼 조합원들이 내야 할 분담금도 줄어들 게 된다. 여기에 한강 조망 가구 수도 늘고 세대 간섭이 줄면서 향후 시세 상승 효과도 누릴 수 있다. 통상 시장에서 한강 조망이 가능한 매물은 일반 매물보다 가격이 10% 이상 비싼 경우가 많다.
강남 외에도 용산구 이촌동 한강맨션도 최고 층수 68층 높이의 재건축 계획을 마련했다. 조합과 시공사인 GS건설이 서울시에서 인가받은 35층 설계안과 별도로 제안한 것이다. 성동구 성수동 일대도 초고층 재건축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이곳은 과거 오세훈 서울시장이 세운 ‘한강 르네상스’ 일환으로 진작에 50층 계획을 수립했지만 ‘35층 룰’에 막혀 사업이 진척되지 못했다.
다만 초고층 재건축을 두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업계에선 공사비와 공사 기간을 최대 변수로 꼽았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계산된 조합원들의 추가 분담금은 일반 재건축을 고려한 금액이다”며 “하지만 초고층 재건축은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아 일반 재건축에 비해 3.3㎡당 공사비가 수백만원 더 비싼 편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향후 사업 확정 이후 공사비 갈등이 빚어질 수 있다”며 “초고층 재건축은 35층 이하 재건축보다 공사 기간이 2배 더 소요되는 만큼 조합원 간 충분한 논의를 거치고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