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부진으로 금융투자 순이익은 전년 대비 10.8% 감소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내 현금인출기/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국내 금융지주회사들이 거둔 순이익이 2년 연속 20조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 부진에 금융투자 부문 실적이 악화됐지만, 이자가 늘면서 은행 부문 수익이 확대된 데 따른 결과다.

9일 금융감독원이 공시한 ‘2022년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 잠정치’에 따르면 국내 금융지주사 10곳(KB·신한·농협·우리·하나·BNK·DGB·JB·한국투자·메리츠)이 지난해 거둔 당기순이익은 21조4722억원이다. 이는 전년(21조1890억원) 대비 1.3%(2832억원) 증가한 수치다.

권역별 순이익을 보면 은행이 14조6001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4.6%(1조8571억원) 증가해 지주사 전체 순익을 이끌었다.

보험사 순이익은 같은 기간 14.9%(3013억원) 증가한 2조3283억원을 기록했다. 저축은행을 포함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순이익은 3조60245억원으로 2.1%(762억원) 증가했다.

반면, 증권사 등 금융투자 자회사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10.8%(5439억원) 감소한 4조4762억원에 그쳤다. 증시 부진 여파로 수수료 수익이 감소한 것에 따른 것이다.  

10개 금융지주회사의 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3418조2000억원으로 전년 보다 214조9000억원(6.7%) 늘었다. 

자회사 권역별로 살펴보면 은행 총자산이 7.4%(177조4000억원), 금융투자는 0.5%(1조7000억원), 여전사 등은 14%(28조5000억원)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험은 총자산이 0.8%에 해당하는 2조원 감소했다.

은행의 자산 비중은 75%로 1년 전 대비 0.5%p 올랐다. 자본적정성 지표에서 지난해 말 기준 은행지주의 총자본비율은 15.59%로 전년과 동일했고, 기본자본비율은 0.06%p 오른 14.32%로 나타났다. 보통주자본비율은 유가증권 평가손실 반영에 따라 전년 대비 0.15%p 줄은 12.58%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 이하 여신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0.49%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0.02%p 높아지는 등 소폭 악화했다. 손실흡수능력 지표인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70.5%로 1년  동안 14.6%p 높아졌다.

금감원은 증시 침체로 금융투자 부문의 수수료 수익은 감소한 반면, 은행 부문의 이자수익이 크게 증가하면서 금융지주사가 양호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면서 자산건전성 악화 위험 등에 대비한 리스크관리를 지도하고, 해외투자·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고위험 위험노출액(익스포저), 대체투자자산에 대한 계열사 간 공동투자 등 그룹 리스크 요인에 대한 관리체계를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