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사전계약 시작···2000만원대 가격에 소형 SUV보다 차체 커
쉐보레 최초 오토홀드 및 한국 소비자들 선호 옵션 대거 탑재
트랙스 포함 올해 50만대 생산 체제 구축해 흑자전환 목표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한국GM의 야심작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국내 출시한다. 한국GM은 올해 트랙스를 국내는 물론 북미 시장에 판매해 수익성을 높여 흑자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22일 한국GM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트랙스를 공개하고 사전계약에 돌입한다. 트랙스는 세단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합친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으로 양쪽 소비자들 모두 흡수하겠다는 전략이다.
로베르토 렘펠 한국GM 사장은 “CUV의 묘미는 세단과 SUV 중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며 “트랙스는 세단의 핸들링과 주행감, SUV의 넉넉한 공간 및 실용성을 모두 갖췄다”고 말했다.
이어 “트랙스는 앞서 출시한 미국에서 현지 딜러와 고객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으며 2월에만 6000대를 선적했다”며 “한국에서도 출시 전부터 초반 반응이 뜨겁다”고 강조했다.
한국GM은 트랙스를 중심으로 올해 연간 50만대까지 생산량을 확대할 방침이다.
렘펠 사장은 “현재 미국에서 수요가 많으며, 주문량에 맞춰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라며 “최대한 많은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올해 트레일블레이저보단 트랙스 비중이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한국GM은 전세계 시장에서 총 26만4875대를 판매했으며 이 중 트레일블레이저는 내수 1만4561대, 수출 15만5376대 등 총 16만9937대를 팔았다.
올해에도 작년과 트레일블레이저 판매량이 비슷하다고 감안하면, 트랙스는 연 20만대 이상을 판매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지난해 판매량에 트랙스가 더해져 50만대 생산력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한국GM은 경남 창원 공장에서 트랙스를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 판매하기로 했으며 9000억원을 투자해 설비를 재정비하고, 기존 공장 인원을 재배치하는 등 생산 준비를 마쳤다.
한국GM은 올해 트랙스를 통해 흑자전환에 나설 계획이다. 렘펠 사장은 지난해 6월 GM 미디어 데이를 통해 2022년엔 손익분기점을 달성하고 올해에는 흑자전환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GM은 지난 2021년 3766억원 손실을 내며 8년 연속 적자를 냈으나, 지난해엔 손실폭을 크게 줄여 손익분기점 도달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올해에는 트랙스를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흑자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공개한 트랙스는 높은 상품성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트랙스 가격은 최저트림 기준 2052만원부터 시작하며, 최고 트림도 2739만원으로 3000만원을 넘지 않는다.
트랙스 차체를 살펴보면 전장 4540㎜, 전폭 1825㎜, 전고 1560㎜, 축간거리(휠베이스) 2700㎜로 소형 SUV 보다 한단계 크다. 현대차 코나의 경우 전장 4350㎜, 전폭 1825㎜, 휠베이스 2660㎜이며, 기아 셀토스는 전장 4390㎜, 전폭 1800㎜, 휠베이스 2630㎜다. 이에 비해 가격은 현대차 코나보다 500만원 가까이 저렴하다.
파워트레인은 1.2ℓ E-터보 엔진을 탑재했으며, 최고출력 139마력, 최대토크 22.4㎏·m다.
여기에 트랙스는 국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편의사양을 대거 탑재했다. 특히 쉐보레 브랜드 최초로 오토 홀드 기능이 적용돼 차량 정차 시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제어한다. 이 기능은 한국에만 포함됐다. 이 밖에도 2열 에어벤트와 앞좌석 3단 통풍시트, 파워 리프트 게이트, LED 테일램프와 LED 방향지시등 일체형 아웃사이드 미러 등 국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옵션을 한국에만 출시한다.